전기차 10배·충전 인프라 2배 확대
수소차도 2025년까지 20만대 보급
20조 투입 일자리 15만개 창출하고
온실가스 배출 노후車 제로화 추진
|
‘한국판 뉴딜’의 한축 ‘그린뉴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주요 현장행보 뿐 아니라 관련 정책 발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어서다.
조명래 장관의 ‘그린뉴딜’ 핵심은 ‘저탄소+녹색산업 혁신’이다.
이와 관련 조 장관은 22일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을 목표로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전환으로 기후·환경안전망 공고화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및 공정한 에너지 전환 지원 △녹색산업의 혁신과 신성장 동력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 3대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이중 관심을 뜨는 대목은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관련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모빌리 보급 의지를 확고히 했다는 점이다.
조 장관은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위한 과감한 재정투자와 제도개선을 통해 자동차 부문의 녹색전환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2025년까지 전기자동차 113만대 보급, 충전 인프라 4만5000기 확충에 나선다.
현재 전기자동차 11만3000대, 충전기 2만2000기에 비해 각 10배, 2배 규모로 확대되는 것이다.
수소차의 경우 중·대형 스포츠실용차량(SUV) 중심 승용차, 중·장거리 버스, 중·대형 화물차 등 중심으로 2025년까지 20만대 보급, 수소충전소 450기 구축 의지를 밝혔다.
전기차와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 총 20조3000억원 예산을 투입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 15만1000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조 장관의 판단이다.
노후 경유차 제로화도 조 장관에서 있어서는 빼 놓을 수 없는 과제다.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다량 배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어서다.
환경부에 따르면 저공해화 필요 노후 경유차는 152만대로 나타났다.
2005년 이전 제작된 노후 경유차에 대해 2024년까지 116만대의 조기 폐차 및 31만5000대에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지원, 액화석유가스 전환 등으로 2024년까지 노후 경유차 제로화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조 장관은 기후변화 위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가능한 자연환경·생활환경 구축을 위해서는 기후탄력적 도시환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스마트 그린도시’에도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여기에 더해 도시 자연환경 복원으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선순한 공간 조성 등 ‘국토생태계 녹색복원’, ‘창업-사업화-혁신도약’ 등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제공으로 중소기업의 녹색기업으로 도약 촉진 등 ‘녹색산업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도 조 장관의 ‘그린뉴딜’ 핵심 과제이다.
2022년까지 19조6000억원 포함 2025년까지 총 42조7000억원의 재정 투입으로 그린뉴딜을 본궤도에 올려놓겠다는 게 조 장관의 복안이다.
그린뉴딜 관련 주요 사항을 의결하는 ‘그린뉴딜 전략대화’, 대외 소통창구 ‘그린뉴딜 소통협의체’를 가동해 그린뉴딜 핵심 사업 추진을 차질없이 진행할 방침이다.
조 장관은 “그린뉴딜은 녹색의 가치가 투영된 환경부의 대표 과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