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쿼드 다소 미정의 실체, 한국 등 참여 '쿼드+' 논의, 시기상조"
"'쿼드+'보다 쿼드 지속과 정례화 장려"
|
비건 부장관은 이날 워싱턴 D.C. 국무부에서 진행한 화상 브리핑에서 ‘쿼드’와 관련, “이 협력의 매개 변수가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정례화할 수 있는지 진정으로 이해함에 따라 시간의 흐름 속에서 더욱 정례화돼야 하고, 어느 시점에는 공식화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견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쿼드 정례화가 특히 위기 대처의 틀이 있는 경우 자연재해나 경제·안보 문제 든 간에 쿼드 내 및 인도·태평양의 다른 나라와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비건 부장관은 ‘한국 정부에 쿼드 플러스(+) 참여를 제안했느냐’는 질문에 “쿼드는 여전히 그 자체로 다소 정의되지 않은 실체여서 확대에 관해 얘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쿼드 확대를 위한 계획된 정책은 없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는 ‘쿼드+’를 반드시 장려하는 것이 아니라 쿼드가 어떻게 가장 잘 공식화될 수 있는지 이해하고,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방어에 헌신하는 인도·태평양의 어떤 나라와의 협력도 환영한다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쿼드의 지속과 정례화를 지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뉴질랜드 등 인도·태평양 국가들의 ‘쿼드+’ 참여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면서도 협력 가능성에 방점을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
비건 부장관은 “태평양 국가들 사이에, 인도·태평양 내에 강화할 가치가 있고 협력 확대로 나아가는 많은 연합체가 있다”며 “인도·태평양에서 미국은 일본·한국·호주·태국 같은 파트너들과 상호 방위협정을 맺고 있고, 그 지역에 있는 나라들과 우리의 관계는 군사훈련과 같은 협력적인 행동을 포함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도·태평양에 있는 많은 국가 사이엔 자연스러운 친밀감이 있다”며 “예컨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싸우고 회복 계획을 수립하려 미국·인도가 수개월간 협력을 했을 때 거기엔 양국만이 참여한 게 아니다. 일본·한국·베트남·뉴질랜드·호주의 카운터파트들과도 연결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그조차도 일종의 자연스레 정의된 그룹은 아니다”라며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아래 방글라데시 같은 남아시아 국가, 아세안 국가들을 포함한 많은 다른 파트너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위한 기회가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