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는 꼭 필요한 만큼 하는 것이 정상...과도한 규제 부작용 국민 피해"
|
정 총리는 이날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직후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대본 회의에서 수도권은 2단계 플러스 알파(+α), 그 외 전 지역은 1.5단계+α, 이렇게 결론이 났다”며 이 같이 설명했다.
특히 정 총리는 “서울 등 수도권의 경우 일주일 전에 2단계로 격상 한 것을 유지 하되, +α로 사우나라든지 줌바라든지 이런 특별한 시설의 경우에는 2단계보다는 더 격상된 집합금지를 하도록 했다”며 “이렇게 일률적으로 단계조정을 하는 것보다는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맞춤형으로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정밀방역’”이라고 강조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의 선제적 격상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정 총리는 “단계를 격상하거나 조정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고 여러 가지 파급효과를 따져봐야 한다”며 “규제는 꼭 필요한 만큼 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밝혔다.
정 총리는 “규제를 제때 하지 않아서 상황이 악화되면 실기했다고 볼 수 있겠지만 강력한 규제를 하지 않고도 상황을 호전시킬 수 있는 데 너무 과도한 규제를 하면 그것 때문에 생기는 부작은 고스란히 국민들한테 돌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정부로서는 어떻게 최적의 규제를 실행할 것이냐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정 총리는 “일각에서 조금 더 레벨을 높여야 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있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 중대본 차원에서는 여러 의견도 수렴하고 충분히 고심도 했다”며 “결정은 누구 한 사람이 한 것이 아니고, 충분히 의논하는 노력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총리는 “오늘 결정한 안은 딱 굳어있는 것이 아니고, 필요하면 앞으로 더 격상할 수도 있고 또 하향 조정할 수도 있다”며 “이렇게 순발력 있게 시의적절하게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우리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이라고 덧붙였다.
호텔, 파티룸, 게스트하우스에서 열리는 연말연시 행사나 파티 금지와 관련해 정 총리는 “처벌이 뒤따르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권유를 통해 큰 무리 없이 실천이 됐다”며 강제라기보다는 지자체와 관계 업장이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과정을 통해서 잘 지켜질 수 있도록 하면 방역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