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요미우리 신문의 단독보도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 불임치료를 공적 의료 보험 적용 대상에 포함시킨 데 이어 인공수정 또한 포함한다고 밝혔다.
2019년 일본 후생노동성의 불임부부실체조사에 따르면 나라와 지자체의 불임치료 지원금에 만족하는 부부는 20%에 불과했다. 공적인 지원이 불임치료를 행하는 부부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지 못한다는 실체가 들어난 부분이었다.
실체 조사에 따르면 인공수정의 1회당 치료 비용은 평균 3만엔(31만원)이고 체외수정은 1회당 약 50만엔(510만원)이었다.
이에 일본정부는 지난해 제도개정을 통해 치료비가 비싼 체외수정이나 시험관 시술에 대해서는 의료보험을 적용하고 1회 30만엔씩 6회까지 특별불임치료 지원금을 마련했다.
그러나 가격이 저렴하고 더 많은 난임 부부들이 선택하고 있는 인공수정은 검토 대상에서 제외돼왔다.
일본 산과 부인과 학회와 시민단체는 정부에 인공수정도 보험적용대상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했으며 내년부터 적용을 전제로 치료 상한 횟수 등 구체적인 검토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인공수정은 자연임신에 가까운 방법으로 여성 측의 부담이 적어 일본에서는 체외수정치료를 행하는 직전단계로 많이 실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70년 전부터 도입이 돼왔다.
치료 1회당 임신 확률은 5~9%로 일본 산과부인과학회의 지침으로는 6회정도의 치료로 임신이 되지 않았을 경우 체외수정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일본정부는 이러한 지침을 토대로 삼아 보험 적용 횟수에 상한선을 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