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할당된 예산에서 추진된 사업… 직접 논의는 없어"
"부처 간 협의 앞서 통신감도 등 점검할 계획"
|
이 당국자는 28일 북한과 본격적인 화상회담을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느냐는 질문에 “이번 합의는 우선 통신연락선을 복원하는 데까지 합의된 것으로 시스템 구축 등 화상 대화와 관련한 논의도 시작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남북 연락통신선 복원 문제는 지난 4월 남북 정상 간 친서 교환에서 시작됐다. 국정원도 이와 관련한 소통을 북측과 꾸준히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4월말 구축된 화상회담장 활용 방안에 대해 남북이 논의한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이에 대해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 간 대화채널을 완전히 복원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밝히며 말을 아꼈다.
지난달 ‘화상회담장에서 조만간 북한과 비대면 대화를 나누기 위해 물밑에서 조율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당시 통일부 당국자는 “영상회의실 구축은 급작스레 설치된 것이 아니라 이미 계획된 예산에서 추진된 건”이라고 답한 바 있다. 이날 통화에서도 당국자는 “비대면 회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할당된 예산에서 추진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통일부는 영상회의실을 자체적으로 구축한 만큼 남북 연락통신선이 복원됨에 따라 북측과의 화상회의를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당국자는 “남북 화상회담을 위해 관련 부처 간 협의에 들어간 것은 아니다”면서도 “북측과의 화상회담을 위한 시스템 점검, 통신감도 등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