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은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총가구 수는 2148만 가구로 1년 전과 비교해 59만(2.8%) 가구 증가했다.
1인 가구(31.7%)가 가장 많았다. 이어 2인 가구(28.0%), 3인 가구(20.1%), 4인 가구(15.6%), 5인 이상 가구(4.5%)가 뒤를 이었다. 1인 가구와 2인 가구를 합하면 비중이 60%에 육박했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는 전년대비 1.5%포인트 증가했다. 2000년(15.5%)과 비교하면 2배 증가한 수준이다. 2인 가구 역시 0.2%포인트 늘었다. 반면 3인 가구는 0.7%포인트, 4인 가구는 0.6%포인트, 5인 이상은 0.5%포인트 감소했다.
1인 가구를 연령대로 보면 20대 1인 가구(19.1%)가 가장 많았다. 이어 70세 이상(18.1%), 30대(16.8%) 순이다.
지역별 1인 가구 비율을 보면 대전이 36.3%로 가장 높고, 경기가 27.6%로 가장 낮았다.
주택은 1853만호로 전년보다 40만호(2.2%) 증가했다. 아파트가 62.9%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단독주택은 21.0%, 연립·다세대는 14.9%를 차지했다.
주택이 가장 많이 증가한 시도는 경기로 14만호가 증가했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세종(3.5%)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586만6000가구로 1년 전보다 26만8000가구(4.8%) 증가했다.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296만5000가구로 일반가구의 14.2%에 달했다.
미성년자녀가 있는 가구는 494만9000가구, 영유아 자녀가 있는 가구는 168만9000가구로 전년대비 각각 2.5%, 5.8%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