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협회장은 27일 여의도 CCM 빌딩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환경부담 저감 사료 개발이 해답이다’ 정책포럼에서 축사를 통해 “각종 환경규제를 강화해 나가고 있는 EU와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기조에 따라 생성되는 규제 위주의 정책은 농민들의 목을 더욱 옥죄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탄소중립과 관련해 “우리나라 또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충분한 역할을 해나가야겠지만 농축산업부문의 탄소배출 측정과 저감 방안이 아직 미흡한 것이 사실”이라며 “탄소저감사료 개발 및 사육관리 방안, 축분 자원화 등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배출량 측정을 기반으로 농민들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김 협회장은 “전국한우협회는 2050년까지 한우산업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지난 달 15일 ‘한우탄소중립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을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향후 환경 및 탄소 관련 정부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정책도입과 시행을 제안할 수 있도록 여러 전문가들과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구성됐다”며 “이 자리 또한 같은 취지로 마련된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더욱 심도있는 담론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우는 탄소사이클의 선순환 구조를 촉진하는 가축으로 자연을 회복시키고 탄소를 흡수·저감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 인위적 폐기시 엄청난 온실가스를 발생시킬 식품 및 농업부산물을 소의 증체와 에너지로 이용하고 온실가스로 일부 방출하는 것은 메탄 저감 배출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