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한국원자력의학원에 따르면 송강현 원자력병원 비뇨의학과 박사팀이 전립선암 환자 수술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복강경 로봇수술은 기존 개복술이 아닌 환자의 피부에 1cm 미만의 작은 구멍을 내 4개의 로봇팔을 삽입한 후 의사가 외부 조정석에서 3차원 영상과 제어기를 통해 원격으로 로봇팔을 움직여 수술을 진행한다.
전립선암 수술의 경우 전립선이 골반뼈에 가려져 개복수술이 어려운 반면, 로봇수술은 깊고 좁은 공간에서 세밀하게 암 조직을 절제하고 신경과 혈관을 최대한 살려 요실금이나 발기부전과 같은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홍영준 병원장은 “원자력병원은 국내 최초로 사이버나이프를 도입해 정상조직 손상은 최소화 하면서 암세포만 칼로 도려내는 무혈 방사선 수술을 시작한 이래 래피드아크 치료 등 첨단 방사선 암 치료를 선도해 왔다”며“이번 복강경 수술로봇 도입을 계기로 수술로봇 특화센터를 구축해 암 수술 분야에서도 비뇨기계 암을 비롯해 다양한 암종에 로봇수술을 활용해 환자분들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고 치료 만족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