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권에서는 지난 23일 헌재의 '검수완박' 유지 판결 이후 한 장관의 총선 출마설이 다시 힘을 받는 분위기다.
헌재 판결을 통한 '검수원복(검찰 수사권 원상 복구)'이 막힌 상황에서, 한 장관이 검수원복과 사법부 개혁을 공약으로 내걸고 총선에 출마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야당이 과반이 넘는 다수 의석을 보유하고 있는 현재 입법부 구도에서는 입법을 통한 검수원복도 어려운 상황인 만큼, 총선 승리로 다수 의석을 차지한 이후 입법으로 이를 되돌리겠다고 내세울 수 있다는 것이다.
여권에서는 대정부질문 및 국정감사 등에서 야당 의원들과 맞서며 대야 투쟁의 상징성을 지니게 된 한 장관이 총선에 출마할 경우 선거 승리를 이끄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다만 한 장관의 총선 출마설과 관련해서는 부정적인 입장도 만만치 않아 여권의 고심이 깊다. 정부 요직에 검찰 출신 인사들이 다수 배치되며 비판적인 여론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역시 검찰 출신인 한 장관이 정계로 나설 경우 '검찰 공화국'이라는 비판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제기된다. 또 내년 총선이 윤석열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의 최측근인 한 장관이 총선에 출마할 경우 여당에 대한 심판론이 작동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