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미 해병대, 압도적 능력으로 적 해안 상륙 성공(영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329010016774

글자크기

닫기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승인 : 2023. 03. 29. 16:30

한미연합상륙훈련 '쌍룡훈련' 하이라이트 상륙돌격작전 포항서 실시
훈련 주관 김승겸 합참의장 "적 무모한 도발 억제…유사시 압도적 응징"
한미 해군·해병대, '결정적행동' 훈련 실시
한·미 연합 상륙훈련인 쌍용훈련에 참가중인 한·미 해군·해병대 장병들이 29일 오전 포항 훈련장에서 상륙돌격작전을 실시하고 있다./연합뉴스
한·미 연합 해병대가 북한 특정지역을 목표로 상정한 상륙훈련인 '2023 쌍룡훈련'의 하아라이트 '상륙돌격작전'이 29일 경북 포항일대에서 펼쳐졌다.

훈련을 현장에서 주관한 김승겸 합참의장은 "국가가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적의 종심지역에 신속히 투입돼 전쟁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연합 상륙훈련에 극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비난해온 북한이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미 해군·해병대, 쌍룡훈련 실시
한·미 연합 상륙훈련인 쌍용훈련에 참가중인 한·미 해군·해병대 장병들이 29일 오전 포항 훈련장에서 상륙돌격작전을 실시하고 있다./연합뉴스
◇압도적 연합 상륙작전 수행능력 과시

한·미 해군·해병대는 이날 오전 경북 포항 일대 해상과 공중에서 상륙작전의 핵심국면인 상륙돌격작전을 감행하며 동맹의 압도적인 연합·합동 전력과 연합상륙작전 수행능력을 과시했다.

이날 훈련은 김승겸 합참의장 주관으로 폴 라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안병석 한·미연합사부사령관,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등 군 주요직위자 20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펼쳐졌다.

'돌격 앞으로'
한·미 연합 상륙훈련인 쌍용훈련에 참가중인 한·미 해군·해병대 장병들이 29일 오전 포항 훈련장에서 상륙돌격작전을 실시하고 있다./연합뉴스
훈련에는 사단급 규모의 상륙군과 대형수송함(LPH) 독도함, 강습상륙함(LHD) 마킨 아일랜드함 등 함정 30여 척, F-35 전투기·아파치 공격헬기(AH-64)·마린온 상륙기동헬기(MUH-1) 등 항공기 70여 대, 상륙돌격장갑차(KAAV) 50여 대 등 대규모 연합·합동전력이 투입됐다.

상륙돌격은 적진에 침투했던 한·미 해병대 수색부대와 영국 해병대 코만도, 해군 특수전(UDT) 팀이 유도한 한국 공군과 미국 해병대 전투기의 폭격으로 시작됐다.


독도함과 마킨아일랜드함 등 한·미 해군 상륙함 탑승해 있던 해상 돌격부대는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와 공기부양상륙정(LCAC : Landing Craft Air Cushion)을 타고 적 해안으로 과감하게 돌격했다.

상륙함과 육상기지에서 발진한 공중·공정 돌격부대는 한국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과 미국 해병대 오스프리(MV-22) 등 항공기에 탑승해 적지로 신속하게 침투했다.

바다 채운 장갑차
한·미 연합 상륙훈련인 쌍용훈련에 참가중인 한·미 해군·해병대 장병들이 29일 오전 포항 훈련장에서 상륙돌격작전을 실시하고 있다./연합뉴스
연합·합동 항공기와 함정의 화력지원 아래 적지에 상륙한 한·미 해병대는 목표지역으로 기동해 해안두보를 확보함으로써 한·미 연합군의 핵심전력으로서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유창훈 한국 상륙군 여단장(대령)은 "한·미 해병대는 결전태세를 확립한 가운데 적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 응징할 수 있는 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에릭 올슨 미국 상륙군 부지휘관(중령)은 "이번 쌍룡훈련을 통해 양국 해군·해병대는 연합상륙작전 능력과 상호운용성을 검증했다"며 "한반도 연합방위태세 및 한미동맹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김승겸 합참의장 "신속하고 결정적인 기동으로 적 중심 절단"

이날 훈련을 주관한 김 의장은 "이번 한·미연합상륙훈련은 강화된 '전사의 방패'(워리어실드·WS) 연합야외기동훈련의 일환으로 5년 만에 재개되는 의미 있는 훈련"이며 "국가가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적의 종심지역에 신속히 투입돼 전쟁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의장은 훈련에 매진 중인 한·미 해군·해병대 장병을 격려하며 "한·미 해군·해병대는 동맹의 강력한 억제와 응징의 상징"이라며 "실전적인 훈련을 통해 한·미연합상륙작전의 완전성을 구비함으로써 적 침략 시 신속하고 결정적인 기동으로 적 중심을 절단, 와해시킬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역설했다.

2 (23)
김승겸 합참의장이 폴 라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과 함께 29일 경북 포항 앞바다에서 진행된 쌍룡훈련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제공=합참
또 김 의장은 마라도함에서 상륙군사령관인 임성근 해병대1사단장(소장)으로부터 훈련상황을 보고 받고 "적은 한·미연합훈련을 빌미로 노골적으로 핵 위협을 지속하는 등 한반도와 역내 평화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적의 어떠한 위협과 도발에도 우리는 계획된 연습과 훈련을 강도 높게 실시함으로써 적의 무모한 도발을 강력히 억제하고 압도적으로 응징할 수 있는 작전수행태세를 완비해야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김 의장은 미 해군 상륙강습함 마킨 아일랜드함을 방문 "이번 한·미연합상륙훈련은 미군의 원거리 전력투사와 한·미 해군·해병대의 연합상륙작전 수행능력을 완벽히 입증해 보인 실존하는 강력한 힘이었다"며 "한·미 해군·해병대의 상호운용성과 팀워크 향상을 통해 연합방위태세의 실행력을 한층 제고해 달라"고 주문했다.

수송기에서 내리는 공정대원
한·미 연합 상륙훈련인 쌍용훈련에 참가중인 한·미 해군·해병대 장병들이 29일 오전 포항 훈련장에서 상륙돌격작전을 실시하고 있다./연합뉴스
지난 20일 훈련에 돌입, 이날 상륙돌격을 성공적으로 마친 한·미 해병대는 다음달 3일까지 전투력 통합과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과제를 숙달 후 쌍룡훈련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