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휴대폰 점유율 분석
애플은 51개국서 1위 기록
![]() |
삼성전자가 세계 스마트폰 제조업체 가운데 가장 많은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이 선두를 달리고 있는 국가는 총 95개국으로, 업계 맞수 애플보다 2배가량 많은 수준이다. 플래그십 스마트폰과 함께 보급형 스마트폰 제품군을 넓히는 '투트랙 전략'을 통해 대중성을 사로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2일 일렉트로닉스허브의 스마트폰 업체별 시장 점유율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171개국 가운데 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가는 총 95개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은 51개국에 머무르며 2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비보·샤오미·오포 등 모든 제조사를 합쳐도 25개국에 그쳤다.
삼성전자는 플래그십은 물론 보급형·중저가 모델까지 모두 집중하기 때문에 경쟁력 확보에 유리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가 국내 시장(60%) 보다 높은 점유율을 기록한 국가는 남태평양 섬나라 피지(74%), 아프리카 소말리아(71.89%) 등이다. 스마트폰 업계 관계자는 "해당 지역들은 플래그십 보단 보급형 기종의 선호도가 높은 곳"이라고 설명했다.
![]() |
삼성전자가 지난달 일본 도쿄 시부야에서 '갤럭시 Z 플립5' 옥외광고를 진행했다. / 삼성전자 |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고가 프리미엄 기종이 잘 팔리는 인도 시장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샤오미를 밀어내고 인도 시장 내 스마트폰 판매 1위에 올라선 데 이어 올 1분기까지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출시한 '갤럭시Z 플립·폴드5'는 인도에서 전작 대비 1.7배 성장한 사전 판매량을 기록했다.
인도는 14억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인구 대국으로, 스마트폰 사용자만 약 6억명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빠른 경제성장률로 국민들의 경제력 또한 따라 높아지고 있다. IDC에 따르면 올 2분기 인도 시장 내 200달러(약 26만원) 미만의 저가 제품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했지만, 600달러(약 78만원) 이상의 프리미엄 제품 수요는 75% 뛰었다.
한편 고가 프리미엄 기종 위주로 사업을 꾸리는 애플은 일본과 미국 시장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특히 일본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은 69.79%로 압도적이며 지난해부터 올해 사이 애플이 가장 많은 점유율 상승을 기록한 국가 역시 플래그십 선호도가 높은 유럽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