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여권접수에서 여권신청으로, 전지작업은 가지치기…국민 중심 행정용어로 개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130010020084

글자크기

닫기

김남형 기자

승인 : 2023. 11. 30. 16:30

공급자 중심표현 및 거의 쓰지 않는 행정용어 개선
서울강남구·대구달성군 시범적용 후 전국 확대
20231130_134606
국민 시각에서 개선할 행정용어 예시. /헹정안전부
# 회사원 A씨는 외국출장을 앞두고 구청 민원실에 여권을 신청하러 갔다. 창구에는 '여권접수'라고 쓰여 있었다. 담당공무원 입장에서는 여권 접수가 맞지만, 국민입장에서는 '여권 신청'이 맞는 표현이 아닐까 생각했다.

#주민 B씨는 구청의 '수목 전지작업 안내문'을 봤다. '수목'이라고 해서 수요일과 목요일에 무슨 작업이 있나 했는데, 작업기간은 월요일과 화요일이었고 '전지작업'은 도로변 나무 가지치기를 한다는 내용이었다. 쉬운 우리말을 써도 되는데 왜 어려운 말을 쓰는지 의문이었다.

이처럼 민원 현장에서 공무원 중심으로 사용해온 표현이나 거의 쓰지 않는 용어가 여전히 남아 있는 행정 현장의 용어가 대폭 개선된다.

30일 행정안전부는 행정용어를 국민의 시각에서 쉽고 편리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고 밝혔다.

개선사항은 국민이 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어를 이용자 시점으로 표현하고, 잘 쓰지 않는 한문 용어 등을 일상에서 쓰는 표현으로 고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예를 들어 국민 시각에서 개선되는 행정용어는 여권접수→여권신청, 원서접수→원서제출, 수납창구→납부창구 등이다. 운영시간은 이용시간으로, 접견실도 상담실 등으로 개선된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으로 개선되는 용어는 소정의 양식→정해진 서식, 상기 내용→위 내용, 전지작업→가지치기, 과업지시서→과업내용서 등이다.

행안부는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립국어원의 감수를 거쳤다. 12월부터 행정용어 개선사항을 서울시 강남구와 대구시 달성군의 민원실과 누리집, 공문 등에 단계적으로 시범 적용한다. 시범 적용을 거쳐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추가 개선사항을 발굴해 전국 지자체로 확산할 계획이다.

서주현 행안부 행정및민원제도개선기획단장은 "모든 공공서비스는 이용자들에게 쉽고 편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국민 시각에서 개선할 과제를 발굴해 관계기관과 함께 정부혁신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