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적극 전력화 및 획득체계 차별화 필요"
|
구체적으로 러시아군의 피해율은 포병(13.40%), 무인기(11.92%), 기갑 및 기계화(4.99%), 헬기(1.45%), 공중자산(0.92%) 순으로 나타났다. 우크라이나군의 피해율은 무인기(11.48%), 포병(6.17%), 기갑 및 기계화(5.97%), 공중자산(3.37%), 헬기(2.15%) 순이었다.
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 국제전략연구실장 등이 최근 발간한 국방논단 '우크라이나 전쟁 전훈 분석 : 주요무기체계 피해율을 중심으로'를 통해 공개한 수치다.
두 실장은 이 수치를 바탕으로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 공통적으로 무인기와 포병의 피해율이 다른 무기체계에 비해 매우 높았다"며 "이는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양측이 무인기 및 포병 체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두 실장은 "우크라이나의 포병 화력 운용 규모가 개전 초기부터 러시아군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열세였고, 동원할 수 있는 포병 전력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군의 포병 피해율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두 실장은 "러시아군은 개전 이후 드론 및 무인기를 17배 이상 증산했고, 우크라이나군은 올해 백만 대 이상의 드론 및 무인기를 생산해 열악한 제공작전 환경을 개선하는 등 특단의 조치를 모색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드론과 무인기 등에 대한 한국군의 적극적인 전력화"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두 실장은 △드론 및 무인기 등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의 적극적인 전력화 △드론 및 대드론 체계 등 긴요 무기체계의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는 획득제도 적용 △드론 관련 특수목적 교육과정 신설 등을 제안했다.
두 실장은 "한국 사회의 인구절벽 및 북한의 무인기 위협 고도화 등 미래 작전환경 변화에 대비해 드론 및 무인기 등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의 적극적인 전력화가 필요하다"며 "드론 및 무인기를 별도의 무기체계로 분류해 획득제도 초기 단계에서 소요군 간 합동성 및 상호운용성을 제고하고, 민관군 기술 수용성과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두 실장은 "드론 및 대드론 체계 등 긴요 무기체계의 즉시 전력화를 위해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는 획득제도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두 실장은 "중·장기적으로 드론 관련 특수목적 교육과정 신설을 적극 검토하고, 예비역 자원에 대한 드론 특기 및 부특기 제도를 확대하는 등 효율적인 병역자원 관리를 통해 국가적 드론 잠재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