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세탁 방지·법무 관련 조직 포함
신한·하나 조기 달성… 국민·우리 보강
|
작년 홍콩 ELS(주가연계증권) 및 부당대출 사건으로 홍역을 치렀던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준법감시 인력 확충에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특히 올해 본격 시행된 책무구조도로 금융사고 발생 시 은행이 짊어져야 하는 리스크가 더욱 커진 만큼, 은행들도 사후 대응보다는 사전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지난해 말 기준 준법감시 지원조직 인력은 712명으로, 전년(596명)보다 116명이 늘었다. 1년 새 20% 넘게 증가한 것이고, 전년 증가폭(65명)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준법감시 지원조직에는 준법감시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뿐만 아니라 자금세탁 방지 조직, 법무 관련 조직 등도 포함돼 있다.
가장 크게 늘어난 곳은 우리은행이다. 준법감시 지원조직 인력이 일 년 새 59명 증가하며 다른 은행 증가폭을 크게 웃돌았다. 보안 강화를 위해 지난해 말 조직 개편에서 기존 정보보호그룹에 속해있던 정보보호본부와 정보보호부를 준법감시인 산하 조직으로 재배치한 데다, 책무구조도 도입에 맞춰 준법감시실에 책무지원팀을 신설하면서 인원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자금세탁방지센터와 여신감리부도 본부급으로 격상해 감독·감시 기능을 강화했다.
KB국민은행도 준법추진부 인원을 대대적으로 확충했다. 내부통제 조직을 재정비하면서 준법추진부에 내부통제, 책무관리, 상시 감시 조직 등 각 역할에 특화된 전담 조직을 별도로 설치했다. 하나은행은 준법지원부 산하 법무팀을 법무지원부로 분리하며 인력과 조직을 크게 확대했다. 현재 국내외 변호사 22명이 소속돼 준법·내규 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실질적인 내부통제정책을 실행하는 준법감시부 인력을 8명 증원했다.
은행들이 준법감시 인력 확충에 열을 올리는 건 내부통제 강화가 여느 때보다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잇따른 금융사고로 은행을 바라보는 금융소비자들의 시선이 따가운 데다, 금융당국도 올해 내부통제 이행 현황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팔을 걷어붙인 만큼 준법감시 체계의 강화가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책무구조도도 적극적인 조직 확대의 배경이다. 금융사고 발생 시 경영진의 책임이 한 층 무거워지면서 각 은행들도 금융사고 대응보다는 사고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제시한 준법감시 인력 비율도 충족해야 한다. 금감원은 은행권의 내부통제 혁신방안으로 올해 말까지 준법감시 부서 인력(자금세탁방지 인력 제외)의 비중을 전 임직원의 최소 0.8% 이상을 배치하도록 의무화했다.
지난해 4대 은행의 준법감시 인력 비중도 평균 0.61%에서 0.78%로 크게 늘었다. 준법감시 인력은 지원 조직 인력 중에서 실질적인 준법감시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을 말한다.
은행별로 보면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준법감시 인력 비율이 0.82%에 달해 이미 목표치를 충족했다. 반면 두 은행에 비해 전체 임직원 규모가 큰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0.77%, 0.71%로 아직 목표에는 못미치는 상황이다. 이에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올 한 해 준법감시 조직 보강에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특히 올해부터 책무구조도 등 은행들의 내부통제에 고삐를 죄는 정책들이 시행되는 만큼, 전문성을 갖춘 인재 영입과 준법조직 체계 고도화를 통해 올해 말까지 목표치인 0.8% 달성에 주력하겠다는 구상이다.
우리은행은 올해 '내부통제 3중 관리체계'를 도입하며 내부통제 전담 인력을 신규 배치하는 등 단계적으로 준법감시 인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 측은 "올해 인사이동 시 준법추진부와 책무관리 등 준법감시부서에 대한 인원 충원으로 0.8%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