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세훈 금감원 수석부원장은 25일 오전 금감원에서 '이해관계자 등과의 부당거래에 대한 금감원 검사사례 관련 브리핑'에서 "향후에 금융권이 내부통제 절차를 갖추고 실질적으로 조직 문화를 바꿔 나가느냐가 또 하나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수석부원장은 최근 금융권 금융사고가 잇따르는 것과 관련해 "은행권의 내부통제 시스템이 형식적인 준수에 그치고 실질적인 고객 이익 보호에 미흡한 부분이 많이 나타났다고 보고 있다"며 "그런 상황에서 (우리금융이) 추가적으로 외형을 확장하는게 맞는지 의문점을 가지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이 부분은 과거 시점을 가지고 인식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 수석부원장은 "우리금융 관련해서 필요한 자료들을 금융위에 통보한 상황이고, 금융위에서 여러가지 상황을 종합 고려해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금감원은 우리금융지주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2등급에서 3등급으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이 수석부원장은 메리츠화재가 MG손해보험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반납하면서 청산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MG손보를 어떻게 처리할 건지에 대해서는 유관 기관과 논의를 하고 있다"며 "보험시장의 건전한 경쟁질서를 유지하는 측면과 보험 계약자의 이익을 보호하는 두 가지 가치를 놓고 균형을 찾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연임을 하는 과정에서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셀프 개정'했다는 논란에 대해서는 "주주나 회사의 이해관계자들이 판단하고, 관련 절차에 따라 결정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