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침체에 고용도 한파…도소매·숙박음식 취업자 5분기째↓
|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3.8%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 5월부터 지난 2월까지 작년 1월(보합)을 제외하고 계속 줄었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이 22개월째 단 한 번도 늘지 못하는 불황이 계속된 것이다. 서비스업 생산지수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역대 최장기간 부진이다.
숙박·음식점업 생산(계절조정)은 전달보다 3.0% 줄어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작년 연말 항공기 사고와 정치적 불확실성이 소비 위축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음식점업의 불황이 더 두드러졌다. 지난 2월 숙박업 생산지수(불변)는 119.0로 비교적 양호한 모습을 보였지만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0.4까지 떨어졌다.
숙박·음식점업의 불황은 폐업 신고자 수에서도 나타난다. 2023년 폐업 신고 사업자는 98만6487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이중 음식점이 15만8000명으로 3번째로 많았다. 작년에는 숙박·음식업 생산이 연중 단 한 번도 반등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폐업이 더 늘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장기간 내수 부진으로 도소매·숙박음식점업 고용도 부진하다. 올해 1분기(1∼3월)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552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5000명 줄었다. 작년 1분기(-5000명)를 시작으로 5분기 연속 감소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1분기∼ 2021년 4분기 이후 가장 긴 하락세다. 당시에는 방역 조치에 따른 고용 축소였는데 현재는 내수 자체의 체력 저하가 원인으로 꼽힌다.
내수 회복 지연에 전체 자영업자 수도 줄고 있다. 올해 1분기 자영업자 수는 552만3000명으로 작년보다 1만4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1분기(-9000명), 2분기(-10만1000명), 3분기(-2만6000명) 내리 줄다가 작년 4분기 1만명 증가했지만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