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원 측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2010~2023년 바른세상병원에서 동종 아킬레스 이식건과 잔존 전방십자인대 보존술식을 적용해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39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서 원장은 재파열의 원인이 되는 터널 와이드닝과 합병증 여부를 중심으로 집중 분석했다.
수술 결과 확인을 위해 MRI를 촬영했고 수술 직후와 추적 관찰 중 MRI의 변화(평균 21개월)를 측정, 비교했다. 터널 확장 여부 확인을 위해 터널의 넓이는 관절면에서 터널로 수직 1cm 아래에 위치한 단면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396명의 사례자 중 MRI 추적 관찰이 이뤄진 179명의 MRI 측정 결과, 터널 단면적의 변화는 평균 3.49㎟로 터널이 증가한 모습은 확인되지 않았고, 45.2%의 환자에서 오히려 터널 감소가 관찰되됐다.
전체 환자 396명 중 21명(약 5%)의 환자에서 이식건의 파열이 확인됐다. 축구 및 외상으로 수술 후 불과 4개월 만에 재파열 된 2명을 제외하고, 19명의 환자는 평균 37.4개월 후에 이식건이 파열됐다. 연구에서 확인된 재파열 사례는 터널 확장보다는 격렬한 운동에 참여한 환자들의 과도한 활동이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 원장은 "결과적으로 연구를 통해 동종 아킬레스 이식건과 잔존 전방십자인대 보존술식을 적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했을 때 터널의 확장을 줄이고 합병증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서 원장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성공에 가장 중요한 기술이 이식건의 고정 방법인데 동종 아킬레스 건은 힘줄 뿐 아니라 뼈를 이용할 수 있어서 대퇴부와 경골부의 터널에 뼈를 같이 이용해 고정하기 때문에 터널 확장을 막고 이식건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며 "본원만의 슬개건 후방의 지방 보존법과 잔존인대 보존법도 논문에 소개했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이어 "해당 수술법은 본원 관절센터 모든 의료진들이 시행하고 있는 수술 방식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본원에서 시행하는 방식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