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올해 첫 SFTS 환자 발생…질병청 “진드기 기피제 사용·예방수칙 준수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18010011201

글자크기

닫기

김민환 기자

승인 : 2025. 04. 18. 16:37

80대 여성 농잡업 중 진드기 물려
"야외활동 시 노출부위 줄여야"
0003629365_001_20250418142912618
발생단계별 참진드기./질병청
질병관리청은 올해 처음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했다고 18일 밝혔다.

첫 환자는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 거주하는 80대 여성으로 집 주변에서 농작업 중 진드기에 물린 후, 구토, 발열(38.1℃), 전신 쇠약, 식욕부진 증상이 발생했으며, 의료기관을 방문 후 SFTS 확인진단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됐다. 올해 SFTS 첫 환자 발생은 최근 3년간 발생일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SFTS는 주로 4~11월까지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물린 후 2주 이내 △고열(38℃~40℃)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감염병으로 중증일 경우 혈소판·백혈구 감소로 사망할 수 있다.

SFTS 환자는 2013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부터 2024년까지 총 2065명 발생했고, 그 중 381명이 사망해 약 18.5%의 치명률을 보인다. 지역별 누적 발생 환자 수는 경기도 344명(16.7%), 강원도 290명(14.0%), 경상북도 279명(13.5%), 경상남도 193명(9.3%) 순이었다.

지난해 발생한 SFTS 환자 170명 중 남성이 57.1%(97명)로 높았으며, 60세 이상이 83.5%(142명)를 차지했다. 주요 임상증상은 △발열(64.7%) △설사(25.9%) △근육통(25.3%) △오한(20.6%) △두통(19.4%) 순이었고, 감염 위험요인은 논?밭(과수업, 하우스 포함) 작업과 제초작업(성묘, 벌초 포함)이 가장 많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SFTS 환자는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특히 농작업 및 야외활동 이후 발생하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 옷, 모자, 양말 등을 착용하여 노출 부위를 줄이고, 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며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고열, 소화기 증상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민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