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영덕 '기부 폭발'…1년 새 최대 470배 급증
|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고향사랑기부금 총액은 약 183억5000만원으로 지난해 94억7000만원 대비 1.9배 늘었다. 모금 건수도 15만3000건으로 전년 동기(6만8000건)보다 2.3배 많았다.
이같은 증가세에는 지난달 대형 산불 발생 이후 피해 지역을 중심으로 기부가 급증한 영향이 컸다. 울산 울주군, 경북 안동시·의성군·청송군·영양군·영덕군, 경남 산청군·하동군 등 특별재난지역 8곳에서는 산불 발생일인 3월 21일부터 말일까지 약 44억원의 기부금이 모였으며, 이는 3월 전체 고향사랑기부금(약 93억3000만원)의 47%에 해당한다.
경북 의성군은 지난해 같은 기간 238만원 수준이던 기부금이 올해는 약 11억2000만원으로 470배 넘게 늘었으며, 영덕군 역시 3400만원에서 14억원으로 급증했다. 이들 8개 특별재난지역에서 모인 44억원은 1분기 전체 고향사랑기부금(약 183억5000만원)의 약 27%에 해당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기부 편의성 강화와 세제 혜택 확대 조치도 기부 증가를 이끄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올해부터 특별재난지역에 10만원 초과 기부 시 세액공제율이 기존 16.5%에서 33%로 상향 적용되면서 고액 기부도 증가 추세다. 실제로 올해 처음 도입된 2000만원 기부도 21건 접수됐다.
행안부는 이러한 모금 증가세를 이어가기 위해 기부 편의성 강화에 나선다. 상반기 중으로 농협 등 오프라인 기부 창구에서 원스톱으로 답례품을 신청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온라인 기부확인증 발급 서비스도 시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존 7개 민간 플랫폼 외에도 새로운 플랫폼을 추가로 개통해 기부 접근성을 더욱 높일 방침이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 "산불 피해 지역에 고향사랑기부로 따뜻한 손길을 보내주신 국민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정부도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산불 피해 지역에 모인 고향사랑기부금이 실제 집행되기까지는 시일이 걸릴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권선필 목원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모금은 빠르게 이뤄졌지만, 실제로 기부금을 집행하는 데에는 여러 행정 절차가 필요해 당장 투입하기는 어렵다"며 "현장에서는 재난예비비 외에는 쓸 수 있는 예산이 없어,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신속한 지원이 필요한 재난 상황에서도 지자체가 단독으로 판단해 바로 집행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행안부 관계자는 "지자체별로 사정은 다르지만 긴급한 상황에서는 지방의회와 협의를 통해 임시회를 열고 추경을 편성하면 신속한 집행도 가능하다"며 "중앙정부와의 별도 협의 절차는 없고, 집행 권한은 전적으로 지자체에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