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로 인한 사과 묘목 갱신 면적 473㏊
배 저온피해 신고 1639㏊… 평년比 31%
현장기술 지원 강화 및 무병 우량묘 공급
|
25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전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센터, 지방자치단체, 한국과수농협연합회 등은 경북 의성군과 대구 군위군을 방문해 과수 생육현황을 살폈다.
농식품부는 지난달 영남권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과수농가가 조속히 영농을 재개할 수 있도록 과원 재조성을 희망하는 농가를 최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공동출하 실적이 없어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선정요건을 완화하는 등 관련 사업시행지침도 개정했다.
기존 묘목 굴취, 토양 개량 등 과원 복구 지원이 필요할 경우 올 상반기 중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자체를 통한 수요조사 등 절차에 착수했다.
산불 피해 면적 중 사과 묘목 갱신이 필요한 직접피해 면적은 지난 18일 기준 473㏊로 나타났다. 이는 축구장 662개를 합친 것과 맞먹는 규모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산불로 인한 사과 직접피해 면적은 전체 재배면적의 1.4% 수준"이라며 "그을림 등 간접피해의 경우 생육관리를 통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배의 경우 지난달 말 기온급감 등으로 저온피해가 접수됐다. 지난 11일 기준 피해 신고 면적은 1639㏊로 조사됐다. 이는 평년 신고면적 5278㏊의 31.1% 수준이다.
다만 개화기 직전 일부 꽃눈이 저온피해를 입더라도 적화·적과 등 '솎아내기'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적정 착과량 확보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보고 있다.
농진청 등 관계기관은 산불 피해를 입지 않은 지역의 사과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착과량 10% 증대, 토양수분 관리 등 현장기술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과수농협연합회는 과수 묘목 생산시설을 확대해 산불 피해 농가가 필요로 하는 무병 우량묘를 최우선 공급할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사과 생산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게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한 생육 점검을 지속하고 있다"며 "재해 우려 지역을 중심으로 이상기상 대응을 위한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서비스 제공, 농가 기술지도 등을 강화해 생육 위험 요소를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