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인 미만 민간기업·교육청 고용률 최저…대기업 집단도 낮은 수준
|
고용노동부는 28일 2024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2024년 12월 말 기준)을 발표했다. 전체 장애인 고용률은 3.21%로 전년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으며, 장애인 고용인원은 29만8654명으로 7331명 늘었다.
공공부문 고용률은 3.9%로 의무고용률(3.8%)을 상회했다. 지방자치단체(5.92%)와 공공기관(4.05%)은 비교적 높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나, 중앙행정기관(3.36%)과 헌법기관(2.83%), 교육청(2.52%) 상대적으로 낮았다. 공무원의 장애인 채용은 다소 부진했는데, 교원·군무원 등 특정직 공무원의 비중이 큰 기관의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고용률은 3.03%로 전년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법정 의무고용률(3.1%)과의 격차는 0.07%포인트로, 1991년 의무고용제도 시행 이후 가장 좁혀졌다. 1000인 이상 대기업의 고용률은 2.97%로 전년보다 0.09%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민간 의무고용률을 밑돌고 있다. 500~999인 기업(3.47%), 300~499인 기업(3.44%)에 비해 대기업 집단의 고용률(2.46%)은 크게 낮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100인 미만 민간기업의 고용률은 2.05%로 가장 낮아 규모가 작을수록 장애인 고용 여건이 열악한 현실을 보여줬다. 민간기업 전체 장애인 고용인원은 22만2109명으로, 이 중 대기업 집단이 고용한 인원은 3만8175명에 그쳤다.
한편 장애인 고용의 질적 측면에서도 개선이 이어졌다. 중증 장애인 비중은 35.8%, 여성 장애인 비중은 28.7%로 전년 대비 각각 상승했다.
권진호 고용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민간기업에 대한 장애인 고용 컨설팅 확대와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규제 완화 등을 통해 장애인 일자리를 적극 지원하겠다"며 "정부부문도 관계부처와 협력해 장애인 채용을 독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