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 베센트 장관 "선거 앞두고 성과 과시" 주장
협상 속도 놓고 양국 간 미묘한 입장차
통상 전문가 "미국, 협상 주도권 확보하려는 의도" 분석
|
△한국 정부, 국내 정치 상황과 국회와의 소통 등을 고려 "서두르지 않고 절차에 따라 미국과의 협의를 진행한다"는 입장 분명히...한·미간 협상 속도 놓고 양국 간 입장차
이번 논란은 한미 양국이 통상 협상의 속도를 놓고 미묘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미국 측이 협상을 조속히 마무리 짓기를 원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 한국 정부는 국내 정치 상황과 국회와의 소통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협상에 임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앞서 베센트 장관은 29일 기자회견에서 한국과 일본 등 주요국 정부가 선거를 앞두고 미국과의 무역 협상 타결을 통해 정치적 성과를 과시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주요 선거를 의식하여 경제 활성화에 대한 국민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미국과의 무역 협상 타결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
그러나 한국 정부는 즉각 반박 성명을 통해 베센트 장관의 발언을 전면 부인했다. 정부는 "한미 통상 협의 시 대선 전에 협상을 마무리하기를 원한다고 언급한 바 없다"며 "미국과 협상의 틀을 마무리 짓고 그 다음 선거 운동을 원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거나 논의한 바 없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그간 한미 간 협의에서는 'July Package'를 마련한다는 데 공감대가 있었으며, 향후 협의 과정에서 한국의 정치 상황, 국회와의 소통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서두르지 않고 절차에 따라 미국과의 협의를 진행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음을 재차 강조하며, 베센트 장관의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통상 전문가들 "미국, 협상 주도권 확보하려는 의도" 분석
전문가들은 베센트 장관의 발언이 미국이 협상 주도권을 확보하고 한국 정부를 압박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달후 대선을 앞둔 한국 정부를 이용하여 미국이 한국의 국내 정치 상황을 협상에 활용하려는 의도를 내비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통상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다.
△용어해설
July Package (7월 패키지): 7월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미 통상 협상 관련 합의안을 의미합니다. |
2+2 통상 협의: 양국 통상 담당 고위 관료들이 2명씩 참여하는 고위급 통상 협의를 의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