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현안 전방위 대응
|
이번 공약은 학령인구 감소, 기후 위기, 디지털 전환 등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교육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고 사회 통합을 실현하기 위해 제안됐다.
우선 시교육청은 기초학력 보장을 위해 국가적 진단-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난독, 난산, 경계선지능 등 다양한 학습 저해 요인에 대해 조기 진단과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도록 국가 차원의 표준화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특수학교 설치 확대와 특수교육 교원 확충을 제안했다. 특히 중증 장애학생의 교육권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자치구에 1교 이상 특수학교를 설치하고, 특수학급당 학생 수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과목 체계 불일치를 개선하기 위해 고교-대학 교육 연계 강화도 추진한다.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교육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학생·교원 마음건강 지원 강화 △교권 보호 강화 △교육공무원 기본권 보장 △적정 교원 정원 재설계 △지방교육재정 안정적 확보 △노후 학교 시설 개선 로드맵 마련 △도시-농촌 학생 교류 지원 확대 등을 제안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공약은 교육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해 마련한 것"이라며 "새 정부의 교육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근식 교육감은 "10대 교육 공약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핵심 기반"이라며 "서울교육이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