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교사 절반 이상, 교권침해로 이직·사직 고민…가장 큰 이유는 ‘과도한 민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14010006571

글자크기

닫기

지환혁 기자

승인 : 2025. 05. 14. 16:38

교사 정치기본권 보장 요구 기자회견<YONHAP NO-2484>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좋은교사, 교사노동조합연맹,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실천교육교사모임, 교사정치기본권찾기연대 소속회원들이 13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교사의 정치기본권 보장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있다. /연합뉴스
최근 1년간 교사들의 절반이상은 학생과 보호자에게 교권침해로 인해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해본 적 있다고 답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교사라는 직업이 우리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8.9% 수준에 그쳤다.

스승의 날을 맞아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은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7일까지 전국의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사 8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교직 생활에 '만족한다'라고 답변한 응답자는 32.7%에 그쳤다. 이는 서이초 사건이 발생한 2023년 설문조사 당시 13.2%보다 크게 늘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교직 생활 만족도에 대한 점수도 5점 만점에 2.9점을 주는 데 그쳤다.

교사라는 자신의 직업이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100명 중 9명(8.9%) 정도만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는 64.9%에 달했다.

최근 1년간 교사 56.7%가 학생에게, 56.0%가 보호자에게 교권침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교사 절반 이상(58.0%)은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을 고민했다고 답했다. 교사들이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한 데는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77.5%)이 가장 큰 이유로 꼽혔다. 이어 '낮은 급여'(57.6%), '과도한 업무'(27.2%) 순이었다.

'교권 5법'이 통과되는 등 교권 보호를 위한 제도가 마련됐지만, 교사들은 여전히 교육 정책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교사 96.9%는 '교육 정책 전반에 현장 의견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고 답했고, 95.8%는 '교육 정책 간 일관성이 높지 않다'고 봤다.

이보미 교사노조 위원장은 "요즘은 교사들이 스승으로서의 자긍심과 보람을 느끼기보다 열악한 교육 여건과 급변하는 교직 문화 속에 이직을 고민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현장 교사들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지환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