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올해 서울서 준공된 빌라 1800가구뿐…2021년 대비 6분의 1로 줄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6010003074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5. 07. 06. 09:42

1~5월 기준 1813가구…작년 동기와 비교해도 38.4% 감소
같은 기간 아파트 준공 물량은 74.5% 증가한 2만702가구
서울 강서구 화곡동 일대 빌라
서울 강서구 화곡동 일대에 빌라들이 들어서 있다./전원준 기자
대표적인 주거 사다리로 꼽히는 빌라(연립·다세대주택) 공급 절벽이 심화하고 있다.

아파트 매매·전셋값 상승 등 쏠림 현상으로 인해 청년·서민층의 주거 비용이 오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국토교통부 주택건설실적통계에 따르면 올해 1∼5월 서울 내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 준공은 1813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2945가구)보다 38.4% 감소했다.

2023년 기준 전체 2207만3000가구의 주택이 밀집한 서울에 올해 들어 공급된 신축 빌라가 2000가구도 안 된다는 뜻이다.

4년 전인 2021년 1∼5월(1만517가구)과 비교하면 입주 물량은 6분의 1로 줄었다.

서울 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은 2020∼2023년 매년 2만2000∼2만5000가구씩 준공됐지만, 2023년 1만4124가구로 줄더니, 작년엔 6512가구로 급감했다.

반면 아파트 준공 물량은 늘었다. 올해 1∼5월 서울 아파트 준공은 2만702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1만1876가구)보다 74.5% 증가했다.

이에 정부는 빌라 등 비(非)아파트 시장을 살리기 위해 작년과 올해 2년 간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빌라를 사들인 뒤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신축 매입임대' 11만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또 1주택자가 빌라를 사서 단기임대로 등록하면 1가구1주택 특례를 적용받을 수 있는 6년 단기임대 제도를 부활시켰다.

이에 따라 빌라 인허가·착공이 늘고 있지만, 정상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시각이 많다.

서울에서 향후 1∼2년 뒤 공급될 빌라 물량을 가늠할 수 있는 다가구·다세대·연립 인허가 물량은 1∼5월 2098가구로, 작년 동기(1263가구)보다 66.1% 증가했다. 그러나 2022년 1∼5월(8549가구) 수준에는 못 미친다.

주택 공급이 부족해 집값이 오를 거라는 우려가 실수요자들의 불안을 커지게 하는 만큼, 시장 안정을 위해선 공사 기간이 짧은 비아파트가 제대로 공급될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