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마용성 외 '풍선효과' 기대됐던 노도강도 줄어
같은 기간 거래 금액도 67% 줄어든 6319억원
|
'불장'을 이끌던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뿐 아니라 이른바 '풍선 효과'가 기대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같은 중저가 밀집 지역도 동반 감소했다.
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서울 25개 자치구에 대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일주일 동안 서울 아파트는 총 577건이 거래됐다. 직전 일주일(6월 20일∼26일)의 1629건보다 1052건(64.6%) 줄어든 것이다.
실거래 신고가 완료되려면 약 한 달이 남았기 때문에 거래량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대책 발표 전과 비교하면 분위기 변화가 감지된다.
비교 기간 강남3구 거래량은 송파(24건→1건) 95.8%, 서초(15건→1건) 93.3%, 강남(76건→24건) 68.4%씩 감소했다.
마포는 66.3%(86건→29건), 용산은 21.4%(14건→11건), 성동은 53.8%(93건→43건) 각각 줄었다.
이번 대책 이후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됐던 노도강, 금관구(금천·관악·도봉) 등 외곽 지역도 거래가 얼어붙긴 마찬가지다.
노원(143건→60건)은 58.0%, 도봉(48건→25건)은 47.9%, 강북(21건→15건)은 28.6% 각각 줄었다.
금천은 73.1%(26건→7건), 관악은 62.7%(59건→22건), 구로는 65.8%(79건→27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전체를 놓고 봐도 용산, 도봉, 강북을 제외한 22곳의 거래량 감소 폭은 50%를 웃돌았다.
거래 금액도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25개 자치구 모두 직전 일주일 대비 축소해 서울 전체로는 67.3% 줄어든 6319억원 규모였다.
지역별로 대책 발표 전 일주일간 거래 금액이 총 2223억원으로 가장 많았던 강남구는 71.3% 줄어든 637억원만 거래됐다.
서초는 97.0% 급감한 15억원, 송파는 89.9% 감소한 43억원으로 조사됐다.
노원 -61.0%(340억원), 도봉 -51.1%(126억원), 강북 -36.0%(85억원) 등도 거래 금액이 축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