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서 만들어 울산으로 해상 운송
|
DL이앤씨는 해당 현장에 사전 조립 파이프랙(PAR·Pre-Assembled Pipe Rack) 모듈을 설치했다고 7일 밝혔다.
이 모듈은 플랜트의 원료와 생산품 등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모듈 공법은 플랜트 공사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다. 보통 플랜트 공사는 현지 시공 방식으로 이뤄져 기후·인력 등 현장 여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반면 모듈 공법은 기계, 배관 등 설비 구성 요소를 사전에 제작해 문제 발생의 여지를 최소화한다.
이번에 설치한 PAR 모듈은 울산 온산산업단지에 석유화학 시설을 짓는 샤힌 프로젝트를 위해 목포 모듈 제작장에서 옮겨졌다.
DL이앤씨는 지난 2월부터 10회에 걸쳐 순차적으로 모듈을 운송했다. 길이 47m, 너비 22m, 높이 36m에 이르는 대형 모듈을 포함해 총 17개, 1만톤 규모다.
DL이앤씨는 '3D 스캐닝'을 기술을 도입해 목표 모듈 제작장에 샤힌 프로젝트 현장을 완벽히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지형지물을 고려한 맞춤형 모듈을 제작해 공정을 단축시키고 용접량도 줄였다. 용접 한 번으로 모듈을 이어붙이는 SWHU(Single Weld Hook Up) 방식을 활용한 데 따른 겅시다.
또 각 모듈의 체적, 무게 중심에 따라 고박(묶는 작업) 위치를 선정하고, 특수 제작한 받침목과 고정끈으로 포장하는 등 전문적인 해상 운송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용했다.
마지막으로 울산신항에 도착한 모듈을 샤힌 프로젝트 현장으로 옮길 때 '모듈 트랜스포터(SPMT)'를 동원했다. 모듈 트랜스포터는 주로 조선소 등에서 큰 선박이나 대형 구조물을 옮기는 데 사용되는 특수 운송 장비다.
DL이앤씨는 총 3개 패키지로 나눠 진행되는 샤힌 프로젝트에서 핵심인 '패키지 1'을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과 함께 수행하고 있다. 준공은 내년 6월 예정이다.
유재호 DL이앤씨 플랜트사업본부장은 "석유화학 플랜트 중 샤힌 프로젝트라는 새로운 영역에 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치밀한 사전 준비와 과거의 모듈 제작·운송 노하우, 전문 인력 덕분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