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대응 체계 구축
높은 차단 효율 입증
|
7일 KT에 따르면 해당 시스템은 지난 6월 11일부터 본격 운영 중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 수작업 대비 등록 시간을 실시간 수준으로 단축해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고 스팸 대응 효율성을 크게 높인 것이 특징이다.
KT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접수된 스팸 신고 데이터를 분석해 차단 키워드를 도출·등록하는 시스템을 운용해왔다. 기존에는 키워드 분석 및 등록에 하루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AI 기반 시스템 도입으로 주말이나 야간에도 실시간 등록이 가능해지며 24시간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시범 운영 약 한달간의 결과에 따르면 시스템 도입 후 당일 스팸 차단 건수는 기존 대비 150% 증가했다. AI가 등록한 키워드는 전체 키워드의 5.5%에 불과했지만 해당 키워드가 차단한 스팸 비중은 전체의 45.9%에 달해 높은 차단 효율을 입증했다.
KT는 이같은 자동화를 통해 스팸 고객센터 인력을 정교한 스팸 유형 대응에 집중 배치했다. 특히 유사투자 권유나 SNS 대화 유도 등 최근 고도화되고 있는 스팸 유형 대응 역량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이병무 KT AX혁신지원본부장(상무)은 "이번에 적용한 AI 실시간 키워드 등록을 통해 당일 발생하는 스팸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에는 변종 스팸과 같이 더욱 지능화된 스팸도 AI 차단 모델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정확도와 처리 범위를 지속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