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범정부 사이버보안 대응체계 강조
|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그룹은 지주 설립 이후 처음으로 대대적인 개인정보 시스템 점검에 돌입한다. 지난 4일 '그룹 개인(신용)정보보호 관리체계 점검 및 개선 컨설팅' 사업을 공고하고, 연말까지 그룹과 전체 자회사의 개인정보 관리체계 및 정보처리시스템을 면밀히 점검할 계획이다.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자회사별 정보보호 전략과 중장기 로드맵도 수립한다.
카카오뱅크도 지난달부터 고객 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신규 서비스 개발에 착수했다. 모바일 안심회선,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시스템 등 대고객 보안 서비스 도입을 추진 중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일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테크그룹 산하의 정보보호본부를 준법감시인 산하로 재편했다. 준법과 정보보호 체계를 일원화해 내부통제 효율성 높이고, 정보보호 업무 간 유기적인 연계를 강화하려는 조치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호 강화 흐름에 발맞춰 선제적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은행권의 이 같은 움직임은 사이버 보안 강화를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운 새 정부 정책 방향과도 맞닿아 있다. 올해 연이어 터진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소비자 불안이 커지면서,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사이버 보안 공약을 강조해왔다. 산업·금융 분야에서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소비자 피해를 막기 위해, 민·관이 협력해 사이버 보안 역량을 선제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인식에서다.
금융당국도 사이버 위협 대응 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5월 주요 금융사 CISO(정보보호최고책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전 금융권을 아우르는 통합관제체계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아울러 보안사고 발생 시 금융사 CEO의 책임을 강화하고, IT 안정성 확보를 위한 감독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국의 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며 내부적으로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SKT 사고 당시에도 은행들이 신속하게 대응책을 마련한 만큼, 앞으로도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