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생닭 등 식재료 손질 시 각별 주의 요구
|
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210개소)이 참여하는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최근 5년간 장관감염증은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로 접어든 최근 4주간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으로 인한 환자 발생이 지속 증가하고 있어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질병청은 전망했다.
실제 살모넬라균 감염증 환자는 지난달 첫 주 66명에서 넷째 주 127명으로 92.4% 증가했으며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도 58명에서 128명으로 늘어났다.
살모넬라균 감염증은 계란액을 장시간 상온 방치하거나,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계란을 만진 후 손을 씻지 않고 식재료를 준비할 때 교차오염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가금류 등 덜 익힌 육류와 비살균 유제품,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해 감염된다. 생닭의 표면에도 캄필로박터균이 존재할 수 있어 세척 등의 식재료 준비 중 교차오염이 일어나 감염될 수 있다.
한편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중 여름철에 자주 발생하는 감염병은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과 비브리오패혈증이 있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난해 동기간(6월 말) 대비 30.4% 높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비브리오패혈증은 지난 5월 10일 첫 환자 발생 이후 추가로 2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향후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질병청은 예상했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장출혈성대장균에서 오염된 소고기·생채소류·유제품 등의 식품이나 물 등을 통한 감염 및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다. 감염 시 심한 경련성 복통, 오심, 구토, 미열 등과 설사가 동반된다.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소고기, 야채 등의 식재료는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먹는 등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올해 여름은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장관감염증 예방을 위해 보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때"라며 "안전한 음식물 섭취와 올바른 손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과 함께, 동일한 음식을 먹고 2인 이상에서 설사나 구토 등의 의심 증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