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언팩서 실루엣·올해 MWC서 콘셉트 제품 전시
완성도·사용성 높이는 작업 진행중
|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이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트라이폴드 폰을 개발 중이며 올해 안에 제품을 출시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갤럭시 언팩에서 트라이폴드 폰의 실루엣을 공개하고 올해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는 콘셉트 제품을 전시한 바 있다"며 "현재 완성도와 사용성을 높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직 제품의 이름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트라이폴드 폰은 기존 폴더블폰 대비 화면 확장성과 활용성이 크게 향상된 폼팩터로 삼성전자는 MWC 2025에서 '플렉스 G', '플렉스 S' 등 다양한 형태의 트라이폴드 콘셉트를 공개하며 기술력을 과시한 바 있다. 삼성의 트라이폴드 폰이 연말 출시되면 이미 트리플 폴더블폰을 공개한 중국 화웨이와의 기술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화웨이는 세계 최초의 3단 폴더블폰 '메이트 XT'라는 이름으로 출시하고 중국 내 유통 채널을 통해 한정 판매를 시작한 상태다.
|
삼성전자는 폴더블 시장을 개척한 선도 기업으로, 2019년 첫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를 출시한 뒤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이어왔다. 이번 신제품 갤럭시 Z 폴드 7은 전작(12.1㎜)보다 48% 얇아진 8.9㎜ 두께, 무게도 초창기 대비 61g 가벼워진 215g 무게로 역대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을 구현했다. 펼치면 8.0형 대화면을 통해 몰입감 높은 멀티태스킹 환경을 제공하고 2억 화소 카메라·갤럭시 AI 등 플래그십 기술을 모두 담았다.
갤럭시 Z 플립7은 한 손에 들어오는 콤팩트한 디자인에 AI 기반 사용자 경험을 강화했다. 전면에 역대 시리즈 중 가장 넓은 4.1형 플렉스윈도우를 적용해 폰을 열지 않고도 대부분의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폴더블 최초로 삼성 덱스(DeX)를 지원해 생산성 기능까지 확장했다. 후면에는 5000만 화소 광각 카메라를 탑재해 플립 특유의 셀피 스튜디오 경험도 업그레이드 했다.
삼성은 두 제품 모두에 최신 칩셋과 폴더블에 최적화된 One UI 8, 멀티모달 기반의 갤럭시 AI를 탑재해 디자인·성능·사용성을 모두 개선했다. 특히 Z 폴드7은 대화면을 활용한 몰입형 멀티태스킹과 창작·검색·번역 등에서 차세대 AI 경험을 제공하고, Z 플립7은 플렉스윈도우를 기반으로 생활 속에서 AI를 더 직관적이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