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복지부, 의료급여 개편 간담회 개최…“지속·보장성 모두 고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0010006355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7. 10. 16:49

복지부, 중증질환자 면제 대상 확대 등 제시
시민단체 "정률제 변경 시 의료접근성 저하"
답변하는 이스란 차관<YONHAP NO-4640>
이스란 보건복지부 1차관이 10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의료급여 제도개선 시민단체' 간담회에서 답변하고 있다./연합
의료급여 정률제 도입이 취약계층의 의료비 부담을 키운다는 지적에 정부가 시민단체와 소통에 나섰다.

10일 보건복지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전쟁기념관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의료급여 제도개선과 관련해 시민단체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4월 25일 정부에서 발표한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의료급여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 의료급여법 시행령 입법예고 기간 동안 다양한 현장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복지부는 의료급여 외래 본인부담 정률제 개편은 건전한 제도 운영으로 아픈 이들에게 필요한 의료이용을 충분히 보장하고, 더 많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함임을 밝혔다.

복지부는 본인부담 개편으로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증질환자 본인부담 면제 대상 확대 △본인부담을 지원하는 건강생활유지비를 월 1만2000원으로 2배 인상 △진료 1건당 의료비 상한선 2만원 도입 △한달 의료비 상한 월 5만원 유지 등 보완 대책을 마련했다.

시민단체와 의료급여 수급 당사자들은 외래 본인부담 정률제 개편안 관련 시행령 개정안에 대한 철회 입장을 표명하며, 정률제 변경 시 수급자 의료비 부담이 증가해 의료접근성 및 건강권 저하가 우려된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또 현재 제시된 보완대책은 대안이 되지 못한다며 근본적인 해법으로 의료기관 통제 강화와 의료급여 보장성 확대 및 사각지대 해결을 촉구했다.

복지부는 의료접근성 제고를 위한 보완대책에도 불구하고 의료비 부담 증가를 우려하는 수급 당사자들의 목소리에 공감, 간담회에서 제시된 사례와 의견에 대해 꼼꼼하게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스란 복지부 제1차관은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의 책임은 제도를 설계하는 것 뿐 아니라 국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를 듣는 것까지 포함된다고 생각한다"며 "의료급여 제도는 취약계층의 건강한 삶을 든든하게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제도의 지속가능성과 취약계층 의료보장 확대를 균형있게 고려한 정책을 함께 논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