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해저 희토류 탐사’ 시작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4010007971

글자크기

닫기

배석원 기자

승인 : 2025. 07. 14. 18:00

4년간 희토류 농도 분포 데이터 확보
서태평양 일부 고농도 희토류 부존 지역 확인
고농도 지역 대상 첫 '현장 정밀 탐사'
[사진1] 탐해3호가 동해에서 스트리머 장비를 활용해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고 있다
탐해3호가 동해에서 스트리머 장비를 활용해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고 있다. /KIGAM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의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가 진해항 제2부두에서 서태평양 공해로 출항하며 '해저 희토류 전용 탐사 사업'을 시작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탐사는 KIGAM이 2020년부터 쌓아온 해저 희토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희토류 부존 지역을 발견하기 위한 첫 사업이다.

KIGAM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 기초조사를 통해 태평양 전역 159개 해역에서 희토류 농도 분포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대양 중심부 적도 인근과 서태평양 일부 고농도 희토류 부존 지역임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

이번 탐사는 기초조사로 쌓아온 고농도 지역을 대상으로 한 첫 '현장 정밀 탐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KIGAM 측은 전했다.

탐해3호는 향후 6년간 △해저코어를 통한 희토류 3차원 부존량 확인 △다학제 연구 기반 부존기작 규명 △AI 활용 자원 예측 분석 △개발 가능성 평가 등을 통해 해저 희토류 자원 확보의 전략적 기초자 료를 확보할 계획이다.

해저 희토류는 육상 희토류 대비 여러 면에서 장점을 갖고 있다. 해저퇴적물 상부 0~10m 깊이에도 높게 분포해 채광이 쉽고, 중희토류 함량이 평균 2배 이상 높아 경제성도 높다.

김윤미 해저지질연구센터장은 "그동안 국제 해저 시추 프로젝트(IODP) 등을 통해 확보한 시료로 분석 중심의 기초연구를 해왔다면 이번 탐사는 대한민국의 탐해3호를 직접 운용해 순수 우리 연구기술을 통해 해저 희토류 자원 분포를 3차원으로 확인·분석하는 단계로 전환되는 것"이라며 "중국과 일본이 이미 선점에 나선 상황에서 이번 해저 희토류 탐사의 상징성과 전략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말했다.

권이균 KIGAM 원장은 "미래 산업의 전략 자원인 희토류를 서태평양 공해에서 우리의 탐사선으로 직접 찾아 나선다는 것은 새로운 대항해이자 대한민국 자원개발의 의미있는 출발이다"며 "탐해3호가 향후 우리나라 해저 자원 연구와 공급망 안정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탐해3호는 총 사업비 1777억원의 국비를 투입해 건조된 6862톤 규모의 고기능 3D/4D 물리탐사연구선이다. 해양 탄성파(음파)를 이용해 지하 자원 분포를 3차원으로 영상화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탐사 장비를 갖추고 있어 단 한 번의 탐사로 축구장 590개 면적에 달하는 규모의 해저를 정밀 탐사할 수 있다.
배석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