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재 대표 "의료기기 본질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미래 위한 행보"
|
모비케어 리프레시는 웨어러블 연속 심전도 기기로, 19그램(g)이라는 초경량 무게의 무선 제품으로 일상생활 중에도 장기간의 심전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일반 심전도 검사 대비 최대 9일까지 측정이 가능해, 단시간 검사로는 발견이 어려운 심장 이상 신호를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ESG 상생 경영 이념을 접목했다는 점도 주목할만한 포인트다. 환자는 검사가 끝난 기기를 집까지 찾아오는 택배 서비스를 통해 반납하고, 병원은 리프레시된 기기를 일회용처럼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다. 모비케어 리프레시 센터에서는 세척·멸균·품질검사를 거친 후 재사용해 의료폐기물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또한 리프레시를 통해 기존 제품을 재사용해 제품 공급가도 다회용 기기 수준으로 줄여 의료기관의 비용적 부담도 덜게 했다.
그동안 모비케어를 비롯한 모든 웨어러블 홀터(Holter)기기는 환자가 기기를 병원에서 부착한 뒤 검사 종료 후 병원에 직접 방문해 반납하고, 병원에서 직접 소독 및 관리하는 구조였다.
덕분에 모비케어 리프레시는 기업·고객(의료진·환자), 사회(환경) 모두 혜택을 누리는 윈-윈-윈(Win-Win-Win)상생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기업은 물론 환자와 의료진 편의 제고는 물론, 환경도 보호할 수 있어서다.
모비케어 리프레시는 도입 1년 만에 서울아산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을 포함한 전국 100여 개 주요 의료기관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단기적으로는 원가 상승과 시스템 구축의 부담이 있었지만, 의료기기의 본질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미래를 고려해 '모비케어 리프레시'를 과감하게 도입했다"며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기술 혁신과 ESG 경영을 통해 의료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헬스케어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