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 의장은 이날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에서 "더 튼튼한 민주주의와 더 나은 국민의 삶, 시대의 요구에 맞게 헌법을 정비해야 한다"며 개헌 추진 의지를 거듭 드러냈다. .
우 의장은 "제헌헌법 이후 9번의 개헌이 있었다"며 "특정인이 대통령 되거나 (대통령) 임기를 연장하기 위해 헌법을 고친 상황이 많았다. 일방적으로 (개헌을) 추진하거나 국회가 해산된 상황이었다"라고 했다.
이어 우 의장은 "1987년 개헌 이후 38년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한 길을 이룬 시간"이라면서도 "헌법은 엄청난 변화를 전혀 담아내지 못했다. 미래의 발전과 변화, 나아가야 할 길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우려했다.
특히 우 의장은 "더 늦기 전에 시작해야 한다"며 "전면적 개헌보다 단계적이고 연속적인 개헌, 국회와 정부, 국민이 모두 흔쾌히 동의할 수 있는 최소 수준의 개헌으로 첫 발을 떼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국회·정부, 국민이 함께 만드는 헌법을 목표로 개헌 시기와 방식, 절차를 검토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야 정당, 정부와도 협의하고 국민 여론도 수렴하겠다"고 덧붙였다.
개헌 추진 시기에 대해선 "여러 상황을 두루 살피면서 판단하겠다"며 "대내외 경제 여건과 향후 정치일정, 정부가 안정화되는 시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우 의장은 개헌과 관련해 △국민투표법 개정 △국민이 개헌방향과 내용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헌법 개정안 성안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단 한 가지를 개정하는 것이 개정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좋다"며 "개헌의 성사가 정치의 복원"이라고 덧붙였다.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과 관련해선 "5대 국경일 중 제헌절만 유일하게 공휴일이 아니다"라며 "헌법의 중요성과 상징성에 걸맞게 위상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