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명' PA 간호사와 업무 충돌 불가피
복지부, 병원별 업무 구분 권한 부여 검토
간호사 업무범위 규정 無…"8월 중 입법예고"
|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9일 정부에 복귀 요구안을 제출하기로 하는 등 1년 5개월 간 의료 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이 하반기 중으로 돌아올 전망이다.
문제는 그동안 전공의들이 떠난 현장을 지켜온 PA 간호사들의 처우다. 간호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2월 의정갈등 이후 전담간호사 수가 61.8% 늘어났으며 처방부터 시술, 수술동의서 작성 등 PA 업무를 수행해왔다.
특히 간협 추산 PA 인력은 4만명 이상으로 집계되며 전공의 복귀 후 이들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정부는 각 병원마다 개별적으로 업무 영역을 조율하도록 하겠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전공의가 복귀하면 PA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줄이겠다는 병원도, 기존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곳도 있어 이를 감안하기 위함이다.
다만 의료 현장에서는 각 병원마다 운영 현황과 함께 전공의 복귀 규모 등 확실하지 않은 변수까지 마주해야 하는 만큼, 업무 구분에 혼란이 가중될 전망이다.
실제 복지부에 따르면 전공의의 50%가 군 복무 중이거나 개원가에 취업하면서 복귀 규모를 단정지을 수 없게 됐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전공의와 PA 간호사 간 명확한 업무 범위 기준이 정해지지 않아 전공의들의 복귀를 앞두고 현장에서 선택이 필요한 시기가 오고 있다"며 "전공의들이 돌아오는 것이 기정사실화됐지만, 그 규모나 지속 근무 여부 등 변수가 존재하기에 병원들의 고심은 깊어져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21일 간호법 시행령 시행된 후 한달 가까이 지났지만 PA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규정하는 '진료지원 업무 시행규칙' 제정안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 복지부는 다음 달까지 시행규칙 입법예고를 진행하고 9~10월 중으로 이를 시행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