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정부24' 앱을 활용한 비대면 조사로 진행되며, 이후 9월 1일부터 10월 23일까지는 읍면동 공무원과 이·통장이 직접 거주지를 방문해 조사한다.
비대면 조사는 조사 대상자가 주민등록지에서 정부24 에 접속해 응답하는 방식으로, 세대원 중 1명이 세대를 대표해 응답할 수 있다. 올해는 본인 인증 수단으로 간편인증 외에도 모바일 신분증이 추가됐다. 참여자는 정부24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위치정보(GPS) 접근을 허용해야 한다.
비대면 조사는 맞벌이·1인가구 증가에 대응해 2022년 처음 도입됐다. 지난해에는 약 799만명이 참여해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점차 정착되고 있다.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조사 중점 대상에 해당하는 세대는 방문 조사가 이뤄진다. 중점 대상에는 100세 이상 고령자, 5년 이상 장기 거주불명자, 사망의심자, 고위험 복지위기가구, 장기 미인정 결석 및 학령기 미취학 아동 포함 세대 등이 포함된다. 특히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고위험군 위기가구의 정보는 보건복지부와 공유된다.
조사 결과 주민등록 사항을 정정해야 하는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최고·공고 절차를 거쳐 10월 24일부터 11월 20일까지 직권으로 정정하게 된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복지·주택·선거·과세 등 다양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가 되는 중요한 조사"라며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