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는 세종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에서 공급망 관세청, 산업부, 외교부 등 19개 관계 부처 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정부는 일본 수출규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요소수 사태와 같은 공급망 위기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지난 2021년 11월부터 공급망 위기의 조기 파악을 위해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은 수기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정보 보안에 취약하고, 실시간 정보공유 및 분석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러한 제약요인을 해소하고 급속한 정보기술 발전을 활용하기 위해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의 전산화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새로 도입될 공급망 조기경보전산망은 부처별로 산재된 공급망 정보를 연계하고, 민간 기업과 외국의 정책동향 관련 정보도 통합 관리할 계획이다. 공급망 조기경보전산망이 구축되면 정부 관계자뿐만 아니라, 유관기관, 선도사업자 등 관련 기업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열람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정부 주도 모니터링의 한계도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시스템 구축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경우, 올해 말부터 시범운영을 진행하고 2026년 초에는 정식 운영할 계획이다.
이주섭 경제공급망기획관은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을 통해 단순 경보를 넘어 위기의 조기 확인은 물론 범정부 차원의 유기적인 공동 대응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