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신, 발작 등 중대 부작용 증가
대부분 비급여로 경제적 부담↑
|
21일 정부부처에 따르면 식약처는 성장호르몬 제제의 안전한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병·의원과 약국을 중심으로 과대광고 실태를 점검하고, 사용 안내 리플릿 및 홍보물 배포 등 예방 조치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 이상사례에 대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성장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분비장애나 터너증후군, 특발성 저신장증 등 소아 성장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된 전문의약품이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질병이 없는 일반 아동과 청소년의 외모 개선이나 콤플렉스 해소 목적 등으로 처방이 늘고 있다.
성장호르몬 처방이 늘어난 배경에는 '키'에 대한 사회적 압박과 조기 사교육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2~12세 소아를 대상으로 한 성장호르몬 약물 처방 건수는 24만7541건으로 전년도(19만 건) 대비 30.2% 증가했으며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문제는 처방이 늘면서 이와 관련한 부작용 사례도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성장호르몬 제제 관련 부작용 신고 건수는 1626건으로 2019년(436건) 대비 3.7배 급증했다. 이 중에는 실신, 발작, 말단비대증, 척추측만증 등 중대한 신경계 장애와 함께, 영구 장애·사망에 이른 사례도 113건에 달했다.
그러나 국내 성장호르몬 시장은 최근 5년간 4배 이상 몸집을 키울 정도로 초호황이다.심지어 저출생 여파로 소아청소년과 환자가 감소하자 성장호르몬 치료를 주력으로 삼은 병원도 늘고 있다.
이런 와중 전체 투여자의 97%가 질병이 아닌 비급여라 부모의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성장 호르몬 주사는 월 100만원 이상, 연간 최대 1000만원에 이른다. 치아 교정, 시력 교정과 함께 '3대 부모 등골 브레이커'라는 우스갯 소리가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의료계 관계자는 "정부가 성장호르몬 주사 부작용에 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실시해 위험성을 알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민이 의약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의약품의 허가 내 사용 정보를 적극 안내하고 성장호르몬 제제에 대한 안전사용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