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 관세 여파 2분기 실적 먹구름… 중대기로 선 현대차그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2010012215

글자크기

닫기

김정규 기자

승인 : 2025. 07. 21. 18:04

현대차·기아, 영업익 나란히 17%대 ↓
글로벌 판매 늘었지만 수익성은 악화
토요타·혼다 등 美 판매가 인상 주목
인상·동결 '고심'… 관세협상에 촉각
현대차와 기아가 이번 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중대 기로에 섰다.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사상 최대 실적 행진이 꺾일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발 관세 부담이 본격화된 데다 그간 관세 영향에도 실적을 뒷받침해 온 '비관세 재고' 역시 소진되며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다. 여기에 경쟁사들의 가격 인상 움직임까지 이어지며, 업계에선 현대차그룹이 실적 방어와 시장 점유율 유지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 전략적 선택을 앞두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24일과 25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그간 믹스 개선,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판매 호조, 미국 시장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연이어 경신하며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왔다. 하지만 '물량 밀어내기' 효과가 사실상 끝난 이번 달부터는 미국발 관세의 실질적인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증권가의 실적 전망도 이러한 시각에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에프앤가이드 조사 결과 현대차는 올해 2분기 매출액 평균 전망치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46조5177억원, 영업이익은 17.4% 하락한 3조5331억원으로 추산됐다.

기아 역시 매출액은 5.5% 증가한 29억961억원으로 예측됐지만, 영업이익은 17.5% 하락해 3조42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판매량 증가가 전체 매출 확대에는 기여했지만, 미국의 품목별 관세 부과 영향으로 인해 수익성은 악화됐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증권가에선 미국의 수입차 관세가 현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현대차의 올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6조2600억 원가량 줄어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현대차 연간 영업이익의 약 40%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런 가운데 최근 미국 내 토요타, 혼다 등 완성차 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단행했고, 현대차그룹이 활용할 수 있었던 '비관세 재고' 역시 대부분 소진된 상태다. 이에 따라 현대차와 기아도 미국 내 차량 가격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관련 공식 발표는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선 현대차가 현재 두 가지 시나리오를 두고 고심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하나는 차량 가격을 인상해 관세 부담을 일부 소비자에게 부담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이 경우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판매량 감소로 이어지고, 결국 전체 수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다른 하나는 가격을 동결하거나 최소한으로 인상하면서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판매량은 유지되거나 오히려 늘어날 수 있지만, 관세 부담을 회사가 온전히 떠안게 되어 수익률 하락은 불가피하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가격을 올릴 경우 회사와 소비자가 인상분을 얼마나 떠안을지에 따라 시장 점유율이 바뀌고 그에 따라 수익이 바뀐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흔히 전기차 캐즘으로 전기차가 안 팔리면 현대차그룹이 곤혹스러울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현대차 입장에서 전기차는 수익이 많이 나는 모델은 아니다"라며 "오히려 하이브리드 차 판매가 늘면 수익은 높아질 수 있는 것처럼, 결국은 마켓 셰어를 얼마나 가져가느냐의 문제만 남게 되는 것"이라고 했다.

결국 모든 가능성은 정부가 미국과 진행 중인 관세 협상의 결과에 따라 좌우될 것이란 전망도 있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1~2달 이내로 빨리 관세 비율을 확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우리는 일본과 유럽과 달리 한미 FTA가 있는 만큼 8% 정도 한자릿수 숫자를 이끌어내면 대성공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또 "현재 자동차 생산 구조는 시스템이 무너지면 재구축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지자체와 함께 국내 완성차 업체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트럼프 관세에 대한 구멍을 메워줘야 할 필요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정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