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재난지역 최대한 빨리 지정하라"
지자체 등 미흡한 대처엔 강력 질타
|
특히 이 대통령은 "사망자, 실종자도 문제지만 이재민들 복귀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가용자원을 최대한 동원할 것을 주문했다.
노란색 민방위복에 장화를 신은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산청읍행정복지센터와 주변 피해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산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최대한 빨리 지정하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 참석한 정영철 산청군 부군수에게 산청읍 피해가 왜 커진 건지, 재산 피해는 어느 정도인지, 구조작업에 필요한 인력이나 장비, 물품 등이 있는지 세세하게 물었다.
이 대통령은 장 부군수의 폭우 피해 브리핑을 들은 후 직접 우산을 들고 마을 내 토사가 흘러내린 곳과 시설물이 파괴된 곳을 돌아봤다.
산청읍에는 지난 19일 시간당 50~60㎜의 폭우가 5~6시간 이어지며 산사태가 발생해 피해가 집중됐다. 이번 폭우로 도로, 하천 등 공공시설 피해가 총 950억원, 농경지·농작물 등 사유시설 피해가 총 400억원 정도로 잠정 추산된다.
이 대통령의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지정 지시에 이 자리에 참석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오늘 저녁까지 조사 마치고 내일이면 특별재난지역 선포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재민 복귀를 챙기라는 이 대통령 지시에 윤 장관은 "요청되는 그 이상으로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최근 폭우에 지방자치단체, 재난지휘부의 미흡한 대처로 피해가 커진 점을 강하게 질타하기도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세종시에서 시민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음에도 무려 23시간 동안 지방자치단체 재난지휘부가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대통령실이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음에도 사고 자체에 대한 인지가 한참 늦었고, 제대로 보고도 하지 않았다. 심각한 공직기강 해이나 잘못이 발견된다면 엄하게 책임을 묻고 철저하게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재명 정부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특별교부세 지급을 신속하게 검토하고 중앙정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이에 발맞춰 지자체도 수해복구와 예방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