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발사장 운송 후 1달여 간 준비
|
우주항공청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아리랑 7호의 운송 전 검토회의(PSR, Pre-Ship Review)를 23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2016년 8월 사업에 착수한 아리랑 7호는 2019년 4월 상세설계를 완료했으며 2023년 12월 위성체 총조립 및 우주환경시험이 모두 완료됐다. 현재 보관모드로 전환돼 발사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운송 전 검토회의에서는 위성개발 분야 전문가, 관계부처 관계자 및 위성개발 참여 연구진 등 100여 명이 위성 조립·시험의 결과를 점검·확인했다. 위성개발을 마무리 후에는 발사 가능 여부를 최종 점검·확인했다.
운송 전 검토회의 후 아리랑 7호는 오는 9월 중순 발사장으로 운송돼 남미 기아나우주센터에서 위성 상태점검, 연료주입 등 약 1달 여간 발사 준비를 거쳐 11월 중 아리안스페이스사의 Vega-C 발사체로 발사될 예정이다.
발사 후에는 목표 궤도에 안착한 뒤 약 6개월간의 초기운영 및 검보정 과정을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위성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전형열 항우연 위성우주탐사연구소장은 "아리랑 7호는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초고해상도 광학관측위성 기술개발 역량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며 "동시에 우리나라가 세계 중대형급 위성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희 우주청 인공위성부문장은 "아리랑 7호가 발사되면 0.3m 이하의 고해상도 광학카메라 및 적외선(IR) 센서를 통해 재해 및 재난·국토·환경 감시 및 공공안전, 도시 열섬현상 등에 활용될 세계적 수준의 고품질 위성영상을 공공 및 민간 등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께 더 높은 수준의 위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위성기술 고도화와 국산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