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번개장터, 폴란드서 ‘K-리커머스 혁신’ 사례로 주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4010014120

글자크기

닫기

정문경 기자

승인 : 2025. 07. 24. 11:31

[번개장터_이미지] 폴란드 KSP 최종보고회 (출처-폴란드 경제기술개발부) (1)
지난 2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된 '2024/25 한-폴란드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최종보고회 및 고위 정책 대화'./번개장터
대한민국 대표 리커머스 플랫폼 번개장터가 폴란드에서 한국 혁신 스타트업을 대표해 리커머스 혁신 사례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번개장터는 지난 21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된 '2024/25 한-폴란드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최종보고회 및 고위 정책 대화'에서 공식 초청받아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

행사는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 주최로 미하우 야로스 차관, 마리안나 시도로프 디지털경제국장 등 폴란드 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동유럽 최대 이커머스 기업인 알레그로와 현지 ICT 기업 협회, 정책 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태준열 주 폴란드 대사와 KDI 국제개발협력센터, 코트라, 한국수출입은행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미하우 야로스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 차관은 "한국이 그동안 성취해 온 디지털 전환 정책 사례가 유용한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한국-폴란드 기업 간 협의 등 후속 협력이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제 발표를 진행한 번개장터 염승훈 글로벌 PR 담당은 "번개장터는 AI 기반 실시간 사기 모니터링 및 에스크로 안전결제 시스템 도입으로 사기 비율을 80% 이상 줄이고 거래량을 2배 이상 늘렸다"고 설명했다.

또한 인공신경망의 단계별 계층 분리 분석 기술을 활용한 정가품 과학 검수 APT 솔루션, 글로벌 K-콘텐츠 거래를 위한 AI 다국어 검색·번역 기능 등 기술적 경쟁력을 소개했다. 그는 전체 이용자의 76%가 MZ세대임을 언급하며 "모바일·데이터 기반 인증·결제가 리커머스 시장 신뢰 제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 마리안나 시도로프 디지털경제국장은 기조연설에서 "폴란드 내 중소기업의 비중은 국가 GDP의 45.3%에 달하며, 관련 종사자 수만 1000만 명이 넘는다"며 "한국 기업의 디지털 전환 사례가 폴란드의 정책 수립에 큰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번개장터와 같은 한국의 리커머스 기업이 폴란드 유관 기업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지난 5월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 등 정부 대표단이 KSP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방한해 네이버, 번개장터, 안랩 등 주요 ICT 혁신 기업을 방문해 한국의 디지털 전환 노하우와 혁신 생태계 협력 사례를 공유받았다.

기획재정부가 추진하는 KSP 사업은 한국의 경제 발전 경험과 정책 지식을 바탕으로 협력국 맞춤형 정책 제안과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표 개발 협력 사업이다. 한-폴란드 KSP는 기획재정부와 KDI가 폴란드 경제개발기술부와 함께하는 첫 양자 협력 사업으로, 폴란드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디지털 전환 및 혁신 정책 수립이 핵심 주제다.

KSP 연구진으로 참여한 윤혜선 한양대학교 교수는 "이번 KSP 사업을 통해 우리 정부와 기업이 함께 폴란드 정부의 '디지털 전략 2035' 기치 하에 디지털 전환 10개년 정책 방향 설정과 액션 플랜 수립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었다"며 "한-EU 간 ICT 스타트업 협력 확대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문경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