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반드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
AI 업계 "경재력 확보 위해선 제도 개선도 필요"
배 장관 "AI 사안은 유연하고 신속히 대응할 것"
|
배 장관은 24일 세종시에 위치한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열린 'AI데이터센터 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AI기업과 학계 관계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현장에서 기업 등 업계 관계자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한 배 장관은 "AI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가 돼야 할 것 같다"며 "(AI 생태계를) 반드시 성공시키지 못하면 우리 AI 생태계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반드시 데이터센터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도 빠른 시간 안에 최대한 GPU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만들어 국가 AI데이터센터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배 장관은 "GPU 1만 장을 확보하고 단계적으로 5년간 물량을 확보해 나가는 전략이 아니라 사실상 2~3년 내에는 승부를 봐야 할 것 같다"며 속도 필요성도 언급하며 GPU 확보와 데이터센터 활성화 문제가 산업계에만의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학계에서도 AI 연구 과정에서 컴퓨팅 인프라 부족 현상이 너무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이날 AI 데이터센터 건립 추진 과정에서 겪는 부지 확보의 어려움, 전력공급, 전력계통영향평가 항목의 비합리성, 국가산단 지정을 통한 세제 혜택 부족 등을 문제로 지적하며 제도 개선을 요청했다. 현장에는 △네이버클라우드 △삼성SDS △SK텔레콤 △카카오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LG유플러스 △한국데이터센터연합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 민간 AI 분야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배 장관은 "AI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AI 고속도로 구축은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과감한 마중물 투자로 AI 인프라를 확충하고 AI 생태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AI 문제에 있어서 만큼은 굉장히 유연하고 신속하게 움직일 것이고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AI 강국이 되기 위한 기반을 만들어 가겠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