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담 및 물류비 인상 맞물려
MS사업본부는 TV 판매 부진에 적자 전환
|
LG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0조7352억원, 영업이익 6394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4%, 영업이익은 46.6% 각각 감소한 수치다. LG전자는 "2분기는 주요 시장 수요 부진과 함께 관세 부담과 시장 경쟁심화 등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이어졌다"며 "물류비 등 전년 대비 증가한 비용 요인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우선 HS사업본부(생활가전)과 VS사업본부(전장), ES사업본부(냉난방공조)는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3개 사업본부 모두 2분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VS사업본부는 전 분기를 통틀어 역대 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나타냈다. 사업본부별 영업이익은 HS사업본부 4399억원, VS사업본부 1262억원, ES사업본부 2505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 52.4%, 0.6% 올랐다.
다만 TV를 담당하는 MS사업본부의 부진이 뚜렷했다. MS사업본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5% 감소한 4조3934억원이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917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수요 감소에 TV 판매가 줄었고,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한 판가 인하 및 마케팅 비용 증가 등도 영향을 미쳤다. LG전자는 이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TV 시장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소비 심리 및 하드웨어 수요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중국의 내수 부진으로 인한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 해외 진출이 계속되면서 강도 높은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반기 전망도 어둡다. 핵심 먹거리인 생활가전 사업이 관세 영향권에 들어선 점이 우려를 더한다. LG전자는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은 2분기부터 시작됐으나, 선행 재고 운용 및 원가 절감 등으로 영향을 최소화했다"면서도 "하반기에는 철강관세 50% 및 상호관세로 인한 제품 원가 상승으로 가격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미국 관세정책 변동성과 소비심리 위축 우려가 지속돼 가전 수요 전망이 밝지는 않다"고 밝혔다.
HS사업본부는 가전구독 사업을 강화하는 한편, 온라인을 활용한 D2C 사업 확대 등으로 성장을 도모한다. 미국 관세 대응 차원의 원가경쟁력 개선 노력도 이어간다. 하반기 물류비 부담은 다소 줄어들 전망으로, 마케팅 비용 투입 최적화 노력을 병행하며 수익성 확보를 추진할 방침이다. 상호관세 발효 시 미국과 멕시코에서 가전 생산을 확대하는 전략도 펼칠 예정이다. 특히 세탁기는 9월부터 멕시코 멕시칼리 지역에 생산지를 추가 운영해 관세 대응의 유연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VS사업본부와 ES사업본부는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하는데 주력한다. 이를 위해 VS사업본부는 고객사와의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효율적 운영 기조를 지속한다. ES사업본부는 고효율 제품으로의 교체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신규 라인업을 확충할 계획이다. AI데이터센터 등에서 액체냉각 솔루션 사업 역량도 구축해 사업기회 확보에 속도를 낸다.
MS사업본부는 전 부문의 역량을 운영 효율화에 집중한다.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수요가 견조한 인도 등 글로벌 사우스 공략도 가속화한다. LG전자는 "웹OS 플랫폼 사업 성장세를 강화하고, 글로벌 사우스 전략 추진 등 질적 성장을 통해 위기를 돌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