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개 이상 합격은 기본”…지난해 수시 교과전형 중복합격 뚜렷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7010015455

글자크기

닫기

김남형 기자

승인 : 2025. 07. 27. 11:37

평균 동시합격 2.4곳…교과전형 2.7곳·종합전형 1.9곳
지방권 충원율 151%…상위권 학과 충원율 900% 육박
대학 입학 정보를 찾아서
7월 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6학년도 수시대학입학정보박람회'에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상담을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2025학년도 대입 수시 전형에서 합격생 한 명이 평균 2.4개 대학에 동시에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형별로는 내신 중심의 학생부교과전형이 학생부종합전형보다 중복 합격률이 높았고, 지역별로는 서울보다 지방 소재 대학에서 중복 합격 현상이 두드러졌다.

27일 종로학원이 대입정보포털 '어디가'에 공시된 전국 201개 대학의 수시 충원 인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시 전형 합격자 17만3954명이 24만8380명의 충원 인원으로 대체돼 충원율은 평균 142.8%에 달했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한 합격생 1인당 평균 동시 합격 대학 수는 2.4개다.

서울권 수시 합격생은 평균 2.2개, 경인권은 2.3개, 지방권은 2.5개 대학에 동시 합격한 것으로 추정됐다. 충원율 역시 지방권(151.4%)이 경인권(128.2%)과 서울권(118.1%)보다 높았다.

전형별로 보면 학생부교과전형의 충원율은 165.7%, 평균 동시 합격 대학 수는 2.7곳이었다. 반면, 학생부종합전형은 충원율이 91.1%, 평균 합격 대학 수는 1.9곳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권 대학에 한정하면 교과전형 합격생은 평균 2.8개 대학에, 종합전형 합격생은 평균 1.8개 대학에 합격한 것으로 분석됐다. 계열별로는 인문계 교과전형 합격생이 평균 2.9개 대학, 자연계 교과전형은 평균 2.6개 대학에 중복 합격했다.

상위권 대학에서는 일부 학과의 수시 충원율이 700~990%에 달한 경우도 있었다. 주로 경영학과나 반도체 관련 등 최상위권 모집단위로 파악됐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교과전형은 내신 중심 선발이라 중복 합격이 상대적으로 많다"며 "논술전형의 경우 학교 내신이 불리한 학생들이 주로 지원하기 때문에 중복합격에 따른 충원율은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상위권 대학이나 인기 학과는 추가합격이 발생하더라도 지원자들이 내신 상위권에 집중돼 있어 합격선이 크게 떨어지진 않는다"며 "수험생 입장에선 지나친 상향지원보다 합격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한편, 올해 수시 원서접수는 9월 8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아투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