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찰 총체적 부실 대응 드러난 ‘인천 사제총기 사건’…오원춘부터 동탄 납치 살인까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7010015532

글자크기

닫기

최인규 기자

승인 : 2025. 07. 27. 21:18

경찰청3. 박성일 기자
경찰청. /박성일 기자
경찰청이 '인천 사제총기 살인 사건' 초동 대처 미흡 논란에 대한 감찰에 착수했다. 당시 상황관리관이 70여 분 늦게 출동하면서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심지어 인천 연수경찰서는 최근 기자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을 빼고 발표하기도 했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은 지난 26일부터 인천 사제총기 살인 사건에 대한 경찰의 전반적인 대응을 조사하고 있다. 핵심은 인천 연수경찰서 상황관리관이 늦게 도착하면서 적절히 대응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경찰은 지난 20일 오후 9시31분 처음 신고를 받았다. 자신의 남편이 시아버지인 조모씨(64)로부터 총을 맞아 인천 송도 한 아파트로 출동해달라는 요청이었다. 경찰은 최단 시간 출동해야 하는 '코드 0'을 발령했고 10여 분 뒤 순찰차 3대가 현장에 도착했다.

그러나 정작 현장을 지휘해야 할 상황관리관 A경정은 없던 것으로 파악됐다. A경정은 신고 접수 70여 분 뒤인 오후 10시43분쯤 도착했다. 이땐 경찰 특공대가 현장으로 진입해 조씨가 도주한 사실을 확인한 상태였다. A경정의 늑장 출동으로 지휘 공백은 물론, 피의자가 도주하는 등 총체적인 부실이 드러난 것이다. 인천연수경찰서는 지난 21일 브리핑 자리에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기도 했다.

경찰의 초동 대처 논란은 이번만이 아니다. 2012년 4월 경기 수원에서 일어난 '오원춘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때 20대 여성 피해자는 "성폭행을 당하고 있다"며 7분 여 동안 위치를 경찰에 얘기했지만, 경찰이 제때 출동하지 않아 구조되지 못하고 살해당했다. 경찰은 피해자와 통화 시간을 축소하기도 했었다. 올해 5월 경기 화성에서 발생한 '동탄 납치살인' 사건에서도 30대 여성 피해자가 같은 해 3월 가해자에 대한 600쪽 분량의 고소보충이유서를 제출했지만, 경찰이 신속히 판단하지 않아 화를 당했다.

곽대경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인천 사제총기 사건의 경우) 현장 경찰의 동선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상황에 따른 매뉴얼을 제대로 숙지하고 대응해야 참사를 최소활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 관계자는 "진상을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경과에 대해선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최인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