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일 근무에 하루 근무 시간 짧아 인기
|
사람을 잘 따르는 리트리버부터 갈색 허스키, 아담한 크기의 견종까지 다양한 색과 크기의 개들이 줄지어 행진한다. 이 개성 넘치는 반려견들을 능숙하게 다루는 이들이 바로 일명 '파세아도르(paseador·산책인)'다.
멕시코에서 최근 고객의 의뢰를 받아 일정 시간 개를 산책시키는 파세아도르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7일 보도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개 8마리를 데리고 나온 다니엘 엘리아스 씨가 의뢰인의 집에서 개를 데려와 공원에서 2시간 동안 놀게 한 뒤 다시 집으로 데려다주는 데 걸리는 시간은 총 4시간이다.
엘리아스 씨는 개 한 마리당 4시간에 200페소(약 1만 5000원)를 받는다. 이날 8마리를 데리고 나온 그는 총 1600페소(약 12만 원)를 벌었다. 주 5일 근무가 기본이고, 고객 수는 20~30명에 달한다.
최근 몇 년간 상승세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멕시코의 최저임금(북부 국경 경제특구 제외)은 하루 278.8페소(약 2만 823원)에 불과하다. 최저임금에 견주면 엘리아스 씨의 수입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주 5일 근무에 짧은 근무 시간 역시 젊은 층에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다만 체력 소모는 크다. 하루 평균 12~15km를 걸어야 하고, 개끼리 싸워 다치기라도 하면 책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멕시코시티에서는 훈련받은 사람만 산책업에 종사할 수 있는 등록제를 도입하자는 논의도 시작되고 있다.
멕시코 정부가 2021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체 가구의 69.8%가 '반려동물을 키운다'고 답했다. 총 8000만 마리 중 개는 절반 이상인 4380만 마리를 차지해, 고양이(1620만 마리)나 기타 동물(2000만 마리)을 크게 앞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