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문제연구소,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는 27일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1년에 즈음한 한일시민단체 공동성명'이라는 제목으로 성명문을 내고 "일본 정부는 세계문화유산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사도광산의 강제노동 역사부정을 시정하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일본이 세계문화유산으로 2015년 7월 등재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과 지난해 7월 27일 등록한 사도광산을 두고 조선인 강제노동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리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해놓고 이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각 현장의 역사 전체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는 해석(설명·전시) 전략'을 조건으로 등재를 승인했다"며 "그러나 2020년 6월에 개관한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전시물은 '민족차별도 강제노동도 없었다'는 하시마 주민의 증언과 영상으로 구성됐고 강제동원 피해자의 증언은 단 하나도 없는 전시였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사도광산에 관해서는 "지난해 7월 등재 당시 일본 정부는 '특히 한반도 출신 노동자들을 성실하게 기억하면서 결의의 권고를 충실하고 완전하게 이행하고 한국과 긴밀히 협의하면서 '사도섬의 금산'의 전체 역사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전시 전략 및 시설을 강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를 인정하고 '광업 채굴이 이뤄진 모든 시기를 통해 추천 자산에 관한 전체 역사를 현장 수준에서 포괄적으로 다루는 설명·전시 전략을 수립하고 시설·설비 등을 정비할 것' 등을 권고하고 2025년 12월 1일까지 진행 상황을 보고하도록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베 정권은 강제동원 피해자의 손해 배상 청구권을 인정한 한국 대법원 판결에 대해 조선인 강제노동을 부정하며 '구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고 했는데 사도광산 전시에서도 이런 식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며 "안내시설인 '키라리움 사도'에는 조선인 노동 전시가 없으며 니가타현이 수집한 반도노동자명부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알렸다.
이어 "일본 정부는 매년 '모든 노동자를 위한 추도 행사'를 개최하겠다고 밝혔지만 강제노동에 대한 반성도 사죄도 없는 행사며 지난해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은 참가를 거부했다"면서 "우리 한일 시민들은 동아시아의 평화와 우호를 바라는 입장에서 일본 정부가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과 사도광산에서의 조선인 강제노동의 진상을 밝히고 그 역사를 올바로 기술할 것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일본이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자 한국 정부는 조선인 강제노역 등을 반영하라고 요구했고 관련 전시 마련 및 추도식 개최 등을 약속받았다.
실제 전시에서 강제노동을 알리는 표현은 빠졌고 지난해 11월 열린 추도식에는 명칭, 추도사 내용 등의 견해 차를 좁히지 못해 한국 유족이 불참한 채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