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안전·교육·의료 AI 라인업 완성
통합형 LLM 운영 플랫폼 'KT AI Studio'로 지원
|
28일 KT는 경기도가 발주한 '경기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총 사업비는 131억원 규모로,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생성형 AI를 본격적으로 행정 시스템에 도입하는 첫 사례다.
이번 사업에서 KT는 약 11개월 동안 △한국어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LLM) '믿:음 2.0'의 경기도 맞춤형 적용 △통합형 LLM 운영 플랫폼 'KT AI Studio' 제공 △행정 실무 특화 AI 모델 기반 서비스 구현 등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청의 문서 작성, 회의 관리, 정보 검색 등 행정 실무 전반에 생성형 AI 기술을 연계할 계획이다.
KT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 영역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생성형 AI 기반 행정지원 체계를 선보이고, 축적된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향후 다른 광역지자체로 확산을 추진할 예정이다. 기존 LLM 모델을 단순히 API 수준으로 연동하는 수준을 넘어서, 지자체별 도메인 특성과 업무 구조에 맞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점이 차별화 요소다.
이번 사업에는 KT를 포함해 엠티데이타, 와이즈넛, 코난테크놀로지, 대신정보통신 등 5개 기업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한다.
KT는 한국형 LLM '믿:음 2.0'을 기반으로, 법률·안전·교육·의료 등 공공 밀착형 4대 분야에 특화된 AI 서비스 라인업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AI 기반 판례 요약 및 법률 상담 △범죄 예측 및 대응 △AI 학습 코치 △AI 간호행정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KT는 이들 서비스를 통해 기술적 완성도뿐 아니라 국민 생활의 질 향상까지 실질적 성과로 연결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유용규 KT Enterprise부문 공공사업본부장은 "이번 사업은 대규모 지자체의 실무 행정에 생성형 AI를 접목한 대표 사례로, 단순한 기술 공급을 넘어 실제 데이터와 업무에 최적화된 디지털 혁신"이라며 "KT는 믿:음 2.0을 중심으로 공공기관의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AI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